728x90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는 주기억장치에서 모자란 메모리를 보조기억장치의 공간을 활용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Windows에서는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Windows10에서 매뉴얼로 가상메모리의 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사용합니다.

 

① Window 버튼에 오른쪽 클릭해서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② 아래 "정보" 탭을 선택한 후에 "고급 시스템 설정"을 클릭합니다.

 

고급시스템 설정 들어가기

 

③ 시스템 설정 "고급 탭"에서 성능의 "설정" 을 클릭합니다.

④ 다시 성능 옵션의 "고급 탭"에서 가상 메모리의 "변경"을 클릭합니다.

 

가상 메모리 설정으로 들어가기

 

⑤ 가상 메모리 창에서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에 체크를 해제하고,

"사용자 지정 크기"에서 숫자를 입력합니다.

혹은 아래 "페이징 파일 없음"을 클릭하면 가상메모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설정합니다.

 

 

320x100

 

 

<<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이유 >>

 

요즘은 꽤 많은 분들이 가상 메모리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무조건 많이 쓰거나 적게 쓴다고 좋은 것도 아니고,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사양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이유를 대표적으로 꼽자면,

 

  1. 메모리를 확장 가능합니다. 물리적인 메모리를 늘리려면 비용이 발생하는데 가상 메모리는 가지고 있는 장치를 SW에서 재구성 함으로 비용없이 사용가능합니다.
  2.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실행 중이지만 지금은 사용 중이지 않는 프로그램의 메모리를 보조기억장치로 옮겨 주기억장치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여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3. 다중 프로그램 실행시 특히 가상 메모리의 효과가 올라갑니다.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돌아가면서 사용하며 임시 장치에 계속 저장함으로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편리하게 사용합니다. 주 메모리 공간을 물리적으로 교체하는 수고와 신경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하며 특히 사용자의 경험과 관리 능력에 따라서 시스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동작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잘 사용하면 보기보다 큰 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하드디스크등 메모리를 활용함으로 쓸 수 있는 저장공간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역시 주기억장치가 충분한 메모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 성능이 뛰어납니다.

가상 메모리는 임시라고 생각하고 결국은 비용을 들여서 주기억장치를 많이 확보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반응형
728x90

1. 주기억장치가 하는 일

 

현대의 컴퓨터는 모니터, 스피커 같은  키보드 마우스 같은 인터페이트등 우리와 소통하기 위한 기본 틀이 있습니다.

이 틀이 동작되어 어떤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컴퓨터의 동작입니다.

이 동작의 메인은 주기억장치에서 이루어지는데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가장 심플한 구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주기억장치의 구성

 

주기억장치가 하는 일은 운영체제를 유지/동작하고 프로그램들이 연산을 수행할 공간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한개의 프로그램이 엄청나게 큰 것도 문제이지만 요즘에는 한번에 많은 프로그램들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연산 속도가 빠른 주기억장치의 메모리를 늘리 것은 아주 어려운 기술입니다.

 

 

 

2. 컴퓨터가 느려지는 이유

 

프로그램들이 메모리를 합리적으로 나누어 사용해도 우리는 컴퓨터가 느려지는 현상을 느끼게 됩니다.

다양한 원인 중 메모리에 관련 된 것 몇가지만 알아보겠습니다.

 

  1. 한 개의 프로그램이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초과하는 메모리를 요구할 때
  2. 프로그램이 너무 여러 개 실행되어 돌아가면 실행할 때
  3. 특정하나의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메모리를 반환하지 않고 계속 점유하고 있을 때
  4. 프로그램간에 연산 순서가 꼬이거나 충돌할 때

 

3번과 4번은 오류에 영역임으로 디버그를 하거나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1번과 2번은 메모리를 늘림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큰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은 언제나 비용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가지고 있는 자원인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가상 메모리의 사용이 있습니다.

 

 

3. 가상 메모리

 

이 프로그램들은 동시에 작동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한 순간에 하나만 사용됩니다.

그래서 지금 사용하는 프로그램만 빠르게 동작하고 다음 프로그램으로 넘어가는 시스템으로 운영됩니다.

 

가상 메모리의 구현

 

사용자의 추가적인 요청이 없다면 가상메모리의 사용은 아래와 같게 됩니다.

프로그램 1이 먼저 주기억장치로 넘어가서 사용하고 변경내용을 저장합니다.

프로그램 2가 그 다음으로 주기억장치로 넘어가서 사용하고 또 변경내용을 저장합니다.

프로그램 3 역시 동일하게 동작합니다.(선입선출방식)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면 주기억장치가 실제보다 큰 것처럼 사용할 수는 있지만, 결국 효율 문제가 있습니다.

아무리 메모리의 할당을 합리적으로 배치해도 각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과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메모리를 구현하는 페이징 방법도 여러개가 존재합니다.

 

  • FIFO(First-In First-Out) : 주기억장치에 먼저 들어온 프로그램에서 순서대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구성이 단순하지만 모든 프로그램들이 동일한 메모리를 사용하여 큰 프로그램이 느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LRU(Least Recently Used) : 가장 오래 전에 사용한 메모리를 주기억장치에서 배제하는 방식으로 큰프로그램이 빠르게 돌아가고 메모리가 작은 프로그램이 뒤로 밀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 LFU(Least Frequently Used) : 가장 사용 빈도가 적은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제거됩니다. 합리적인 것 같지 지금 이순간 새로운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메모리가 꼬이는 문제도 가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728x90
곡선은 점이 평면상이나 공간 내를 연속적으로 움직일 때 생기는 선이다. 
"곡선"은 연속곡선을 뜻한다.
(출처 : 두산백과)

 

사전에서 곡선의 의미는 좀 어렵습니다. 정의 대로라면 직선은 곡선에 포함됨니다.

일반 적으로는 두 점을 끊김 없이 연속된 선을 이용해서(미분가능할 때) 연결 할 때,

변곡이 없이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것을 직선이라고 하고, 변곡이 있으면 곡선이라고 합니다.

 

 

 

변곡이 있는 곡선의 모든 구성이 한개의 중심을 가진 원 위에 있을 때는 구면, 아니면 비구면이라고 표현합니다.

원은 중심의 한점을 기준으로 거리가 같은 점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두 점을 이어주는 구면을 포함한 원의 일부를 "부채꼴(circular sector)"이라고 합니다.

부채꼴의 성분엔는 곡선인 "호(arc)"가 있고 일부 성분을 연결한 직선인 "현(chord)" 그리고 중심각 θ가 있습니다.

 

부채꼴

 

호와 현, 부채꼴의 모양에 대한 몇가지 공식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거의 모든 특성을 반지름과 중심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r = 반지름, θr = 중심각(라디안 단위)

공식의 각도는 라디안 단위라서 360분법의 각도를 사용한다면 π/180을 곱해줘야 합니다.

 

<<공식들>>

 

ᆞ호의 길이

 

ᆞ부채꼴의 둘레

 

ᆞ부채꼴의 넓이

 

ᆞ현의 길이

 

 

ᆞ현의 높이

 

 

ᆞ현과 호가 만드는 도형의 둘레(이 부분을 "활꼴 - segment of a circle "이라고 합니다.)

 

 

ᆞ활꼴의 넓이

 

 

 

320x100

 

반응형
728x90

엑셀은 여러개의 창을 열어놓고 작업을 해도 하나의 프로세스에 여러가지 프로그램이 열려있습니다.

구글 크롬 같은 방식으로 각 파일간 연동을 하거나 수식에서 참조를 걸기 편합니다.

장점이 상당히 많은데 우선 메모리를 적게 먹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다른 문서 참조하기

 

문제도 있는데 예를 들면, 하나의 파일이 VBA로 1시간동안 작업을 하면 1시간동안 엑셀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이럴때는 독립된 다른 프로세스에서 엑셀을 오픈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방법은 [Win시작] - [Excel]이나 하단 작업표시줄의 EXCEL을 오른쪽 클릭하여 엑셀 아이콘에서 클릭할때,

 

단추를 ALT + 왼쪽클릭합니다.

 

엑셀 실행하기

 

Alt를 누른상태에서 클릭하면 "새 Excel 인스턴스를 시작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당연히 "예"를 눌러서 엑셀을 시작합니다.

엑셀 새로 만들기 창이 실행되고 이렇게 열린 엑셀 파일은 독립되어 있습니다.

 

인스턴스 시작

 

새로 만들기

 

 

작업 관리자 창을 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Microsoft Excel 묶음 하나에 다 들어가 있는데 두개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묶음에서 작업진행을 한다고 동작을 할 수 없어도 다른 묶음은 동작이 됩니다.

 

엑셀이 묶음이 두개입니다

 

다만 하나의 묶음에서 VBA를 장기간 돌리면 메모리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컴퓨터 자체가 느려집니다.

두 개의 묶음이 따로따로 동작해도 메모리가 부족해서 동작하지 않거나 다운되면 전혀 효과를 볼 수 없는 것이죠.

이런 점을 주의해가면서 사용해야 합니다.

 

320x100

 

반응형
728x90

엑셀의 최신 버전인 Microsoft Office 365나 EXCEL2019 혹은 그 이상 버전에서 작동하는 함수입니다.

LAMBDA 함수는 특수한 함수로 최신 버전에서만 동작합니다.

사용자가 직접 정의한 함수를 만들어서 복잡하거나 반복되는 수식을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LAMBDA([parameter1, parameter2, …], calculation) : 매개변수인 parameter를 활용하여 calculation에 입력된 계산을 수행합니다. 한번 입력하면 두번째에는 매개변수만으로 동작합니다.

 

  • [parameter1, parameter2, …] : 파라미터로 문자열을 입력하고 함수에 입력할 숫자를 나타냅니다. 최대 253개의 매개변수를 입력할 수 있고, 매개변수의 이름에는 마침표(.)의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 calculation : 매개변수를 사용해서 만들공식입니다. 사칙연산과 지수를 포함하여 계산 함수들도 사용할 수 있고 PI() 같은 상수함수도 입력이 가능합니다. 다만 명확하게 결과가 나오게 구성해야 합니다.
  • 명확하게 결과만 나오면 Array 형태의 여러가지 값이 반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타원의 넓이 S = A x B x&nbsp; &pi;

 

예를 들기 위해서 타원의 넓이 공식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넓이 "S = A x B x π" 이고 이걸 LAMBDA함수로 만드는 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320x100

 

 

<사용법>

 

① 먼저 [수식] - [이름 정의]를 선택합니다.

 

다른방법으로 이름을 정의해도 무방합니다.

어떻게든 "새 이름" 창만 만들면 됩니다.

 

이름정의를 클릭합니다.

 

 

② 새 이름에서 LAMBDA 함수를 입력합니다.

 

"이름"에는 새로 만들 함수의 이름을 입력하고, "참조대상" 부분에 LAMBDA 함수를 사용합니다.

여기에 참조대상을 입력할 때는 오타가 나기 쉬우니 다른 곳에 먼저 작성하여 복사 붙여넣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 이름 매뉴

 

 

③ 만든 함수를 사용한다.

 

Area라는 이름으로 만들었으니 그대로 사용하면됩니다.

만들어진 함수에도 일반 함수처럼 가이드가 달립니다.

이번에는 매개변수가 두 개니까 숫자 두 개를 입력하면 받아서 입력한 계산을 수행합니다.

 

함수 사용하기

 


 

예시로는 단순한 공식을 사용했지만 상당히 긴 공식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이름으로 남기면 다른 파일로 전달하기도 쉽습니다.

다만, 최신버전에서만 작동하는 점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728x90

주식에서 보는 캔들 차트(막대 차트)의 일봉, 주봉, 월봉의 기본적인 의미와 해석 방법

 

위에 링크에서 처럼 지난번에 일/월봉 같이 단위시간에 대한 캔들을 알아봤습니다.
주식의 가격변화는 추세를 가지기 마련이라 단위시간만 보는게 아니라 캔들이 여러개있는 캔들 차트를 확인합니다.
이 때 다양한 보조지표가 사용되는데, 오늘은 그중 대표적인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아래는 네이버에서 볼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캔들차트입니다.

여러가지 정보 안에  5, 20, 60, 120일을 나타내는 선이 바로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렇게 네이버나 HTS에서 기본 설정으로 보여 주는 것이 MA(Moving Average)입니다.

 

단일 차트

 

 

1.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이란 무엇인가

 

가장 기본적인 평균선으로 특정 기간의 종가들의 평균을 의미합니다.

다른 말로 단순 이동평균선(Simple Moving Average:SMA)이라고도 부릅니다

예를 들어 5일 이평선(이동평균선)은 오늘부터 -1, -2, -3, -4일의 총 5일간의 평균을 선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공식

 

V1, V2, V3 ... 은 각 기간의 종가를 의미하고 n은 선택한 기간을 의미합니다.

기본단위가 일이면 5일 이평선, 20일 이평선이라고 이야기하고 분이면 5분 이평선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이야기하다보면 이평선이라고 줄여서 말하기 쉬우니 기간에 유의해야 합니다.

보통 이야기 안하면 일봉의 이동평균선으로 이야기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이평선의 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5일 : 일주일을 주 5일제로 거래하기 때문에 주단위로 표현할 때 많이 쓰는 단위입니다.
  • 20일 : 보통 한달이 22~24일 정도 거래하지만, 공휴일이 있는 경우도 있어 평균적으로 월단위를 20일로 봅니다.
  • 60일 : 20 x 3으로 3달을 의미하며 주로 회계가 분기단위로 결산되어 의미를 가집니다.
  • 120일 :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선중하나로 반년을 의미합니다.
  • 240일 : 일년을 의미하는데 성향에 따라서 200일선으로 보기도 합니다. 대형주나 큰 추세를 보는 경계선입니다.
  • 480일 : 2년을 의미하며 성향에 따라 400일선으로 보기도 합니다.
    시장의 큰 일이 2년마다 한번씩은 있다는 의견도 있기도 하고, 아주 큰 주기의 움직임을 파악하기에 좋습니다.

 

320x100

 

 

2. 가중치 이동평균선

 

전문가가 아니면 잘 사용하지는 않지만 이동평균선도 종류가 있습니다.

 

① 지수 이동평균(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

 

최근에 가격에 가중치를 주어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20일 이평선이라고 할때 지금으로부터 반년전과 최근에 움직임을 똑같은 중요도로 볼 수 없습니다.

이것으로 해결하기 위해 가중치라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공식입니다

(EMAt : 지금 이동평균, EMAt-1 : 직전기간 이동평균, Pt : 현재가(당일종가), α : 평활계수)

 

이동평균선이 기초적이라고 말씀 드렸는데 이건 일반적인 주식 공식들보다 어렵습니다.

α는 평활계수라고 하고 민감도를 조절 하면서 0 ~ 1 사이에 숫자를 사용합니다.

과거 기간에 현재 가격을 일정 α(평활계수)에 가중치를 주는데 클수록 과거의 데이터의 영향이 약해집니다.

보통 2/(n-1)을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응용분야에 따라 많이 다르고 딱히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② 가중 이동평균(Weighted Moving Average, WMA)

 

각각의 DATA에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보통은 최근에 큰 가중치를 과거일 수록 작은 가중치를 가지도록 만들어사용합니다.

 

공식입니다

(V1, V2 : 가격, w1, w2 : 가중치입니다.)

 

이 것 역시 분야/성향에 따라 다양한 공식이 적용됩니다.

가장 흔한 것은 가장 최근 값에 n의 가중치를 다음 값에 (n-1), 그 다음에는 (n-2)를 적용합니다.

혹은 (n - (n * (기간-1) / 기간))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반응형
728x90

<데스페라도스 - 모음>

 

게임소개 - https://toast-story.tistory.com/373
존 쿠퍼 -  https://toast-story.tistory.com/374

닥 맥코이 -  https://toast-story.tistory.com/375

핵터 맨도자 -  https://toast-story.tistory.com/376

케이트 오하라 -  https://toast-story.tistory.com/377

이사벨 모레아 - https://toast-story.tistory.com/378

적들의 종류와 상대하기 -  https://toast-story.tistory.com/379

 

 

<적의 시야>

 

원뿔모양의 시야

 

적의 시야는 기본적으로 원뿔형이고 한곳만 보거나 고개를 움직이는 데로 움직입니다.
진한 녹색은 1차시야이고 점선으로 표시되는 곳은 2차 시야입니다.
1차 시야에서는 모든 것을 볼 수 있고 2차 시야는 앉아서 움직이는 아군과 누워있는 케릭터는 보지 못합니다.
시야는 큰 물건에 가리면 차단되지만, 작은 물건에 가리면 1차시야가 2차시야로 전환됩니다.
적이 쓰러지는 중간에는 다른 적이 보면 2차 시야에서도 반응하는데 이 짧은 시간이 긴장됩니다.

완전히 쓰러져 있으면 1차 시야에 들어와야 보고 반응합니다.

 

밤에는 달라지는 시야

 

시야는 밤에는 변하는데 1차 시야가 극단적으로 줄어듭니다.
대신에 조명아래에서는 무조건 1차시야로 작동하니 조명을 조심해야 합니다.
적들이 조명을 들고 다니거나 설치되어 있는 경우 모두 해당됩니다.

 

 

<적 유닛 - 경비병>

 

몰려드는 경비병

 

적에게 들키거나 시체가 발각되면 경보가 뜹니다.
주변 적들이 모두 모이고, 경비 초소에서 경비병들이 출동합니다.
경비병들은 수가 정해져 있는데 한번에 절반만 출동합니다.
초소의 경비병이 4명이면 2명씩 나옵니다.
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전멸을 노리는 강행돌파가 가능하기는 합니다.

 

적들이 저렇게 많으면 들어갈 수 없습니다

 

주변적들이 모여서 적들이 많아진 상태이고, 한동안 수색모드가 되어 여기저기 뒤지고 다닙니다.
경비병 자체는 모든 기술이 다 통하는 일반적이지만 주로 몰려다녀 까다롭습니다.
그래서 들키면 장소를 벗어나서 다른 곳에서 작전을 수행하거나 한동안 숨어있어야 합니다.
게다가 경계가 끝나도 초소로 돌아가지 않고 근처에서 순찰을 돌아서 게임난이도를 높입니다.

 

 

<적 유닛 -  총잡이>

 

총잡이

 

남성, 여성 총잡이는 가장 기본적이 적들입니다.
총을 들고 다니고 모든 종류의 기술에 대상이 됩니다.
여럿 몰려다니거나 순찰을 돌고 있지 않는 이상은 위협적이지 않습니다.
남성은 진짜 모든 기술에 다 걸리고, 여성 총잡이는 케이트의 유혹과 미끼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다만 케이트가 기술을 걸어도 실패만 할 뿐 경보를 울리거나 공격하지는 않습니다.

 

 

<적 유닛 -  경비 깡패>

경비


경비 깡패는 삽을 들고다니면서 작업을 하는 적들입니다.
총이 없어서 아군을 발견하면 경보를 울리면서 달려서 삽으로 공격합니다.
일을 하고 있지만 민간인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거기다 일을 하고 있을때는 시야가 줄어들고 이동을 하거나 하면 다시 늘어나는데 이게 오히려 까다로울 때가 있습니다.

경비 깡패 역시 면역이 없고 모든 기술에 다 반응합니다.

 

 

<적 유닛 -  판초경비>

판초 경비

 

판초경비는 가짜동전, 스텔라의 고양이 기술에 영양을 짧게 받고 휫바람에 면역입니다.
또 발자국을 봐도 그쪽으로 가지는 않지만 쳐다는 봅니다.
케이트의 기술인 미끼에는 걸리지는 않지만 유혹은 통합니다.
주어진 일에 충실해 자리를 쉽게 이탈하지 않는 병사입니다. 까다로운 적입니다.
경보가 울리거나 시체나 묶인 병사를 발견하면 자리에서 이탈합니다.
케이트의 유혹에 걸리지 않아 더 까다로운 여성 판초는 따로 이름옆에 여성 마크가 있습니다. 

그리고 여성은 외모적으로도 숄더를 좀 더 올리고 있고 머리가 깁니다.

 

 

<적 유닛 -  롱코트>

롱코트

 

롱코트는 정예병사로 큰 덩치와 샷건을 들고 서있습니다.
가짜 동전에도 효과가 적고 칼던지기와 스텔라의 고양이 기술이 아예 통하지 않습니다.
변장한 케이트를 한번에 알아보고 헥터의 휘바람과 멕코이의 가방에 속지 않습니다.
다만 발자국을 발견하면 달려와 추적합니다.
근접전은 헥터만 상대할 수 있고 다른 적들이 뒤에서 공격해도 오히려 튕겨 내고 제압합니다.
헥터가 없다면 헤치우기가 꽤 까다롭습니다.

체력이 3칸인데 우선 총기류로 먼저 가격하면 스턴에 걸리고 다른사람이 해치워야 합니다.
스턴에 걸린 상태에서도 총을 쏜 상대 방향으로 계속 쳐다보면서 경계합니다.
그나마 함정에는 한방에 쓰러지니 함정으로 해치워야할 대상 일순위가 됩니다.

마땅한 방법이 없다면 다른 적부터 정리해서 고립시킨 후에 처리하는게 좋습니다.

 

 

<적 유닛 -  경비견>

경비견

 

경비견은 병사들중에서 가장 수가 적습니다.
시야도 엄청 좁지만 벽과 수풀을 뚫고 보기(?) 때문에 방심했다가는 크게 당할 수도 있습니다.
이 녀석들은 경보를 울리지는 않지만 시끄럽게 짓으면서 돌진하여 대응이 어렵습니다.
만일 강행돌파를 결심했더라도 경비견은 미리 좀 해치우고 나서 해야합니다.

 

 

<중립 유닛 - 민간인>

민간인

 

민간인은 전투능력은 없지만 기본적으로 적입니다.
플레이어의 케릭터를 발견하면 가장 가까운 적에게 뛰어가 수색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고함고함 지르면서 달려가서 사방에 적병을 자극하니 미리 조용히 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편에게 우호적인 민간인들도 있는데 이들은 보더라도 반응하지 않으니 위험하다면 다 구해줍시다.
비록 게임이지만, 민간인을 해치우는게 양심에 걸리신다면 비살상모드로 처리하고 포박해두면 됩니다.

 

 

 

320x100

 

반응형
728x90

<데스페라도스 - 모음>

 

게임소개 - https://toast-story.tistory.com/373
존 쿠퍼 -  https://toast-story.tistory.com/374

닥 맥코이 -  https://toast-story.tistory.com/375

핵터 맨도자 -  https://toast-story.tistory.com/376

케이트 오하라 -  https://toast-story.tistory.com/377

이사벨 모레아 - https://toast-story.tistory.com/378

적들의 종류와 상대하기 -  https://toast-story.tistory.com/379

 

 

이사벨 모레아(Isabelle Moreau)

 

이사벨

 

서부풍이 팍팍 풍기는 다른 동료들 사이에서 부두교의 술사라는 특이한 포지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에서 커서 그런지 말하는건 또 거의 미국 아줌마 그자체입니다.
가벼운 주제로 맥코이와 만담을 주고 받습니다.
이동능력은 덩굴과 밧줄을 타고 오르고 내릴수 있으면 수영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달리고 걷는 이속이 가장 빠릅니다. 시체는 서서 업고 다니기 때문에 빠르지만 적의 2차 시야에 걸립니다.

 

 

<스킬 - 낫>

 

근접무기 - 낫

 

근접공격입니다. 중간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는데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습니다.
다른 경비가 향수병으로 메즈기를 먹은 사이에 처리할 수 있기는 해서 유용합니다.
비살상 모드일때는 몽둥이로 팹니다.

 

 

<스킬 - 결속>

 

결속

 

소음이 전혀 없는 원거리 기술로 적에게 맞추면 순간적으로 따끔함을 느끼지만 별 이상은 없습니다.
두명을 맞추면 두케릭터가 연결되었다는 신호가 발생하고 한명한테 일어나는 일이 다른 한명에게 일어납니다.
한명만 향수병에 맞아도 둘다 스턴에 걸리며 한명이 동전 때문에 돌아보면 다른 한쪽도 돌아봅니다.
A와 B를 결속하고 A를 살해하면 B도 죽지만 시체로 경보가 뜹니다.
A와 B를 결속하고 A가 사고사 하면 B도 죽고 시체로 경보가 뜨지 않습니다.
롱코트와 A를 결속하고 A가 무슨원인으로 죽든 롱코트는 피가 한칸만 까이고 기절합니다.
롱코트와 롱코트를 결속하고 한쪽 롱코트를 죽이면 나머지는 피가 한칸만 까이고 기절합니다.
총알을 낭비하지 않고 롱코트를 죽일 수 있는데 포박한 적과 결속한 후 살해하는 식으로 원거리 살해도 가능합니다.
공포 게임에나 나올 법한 무서운 스킬입니다. 사고사와 조합이 좋아서 함정 사용할 때 꼭 사용해 줍시다.

 

 

<스킬 - 스텔라>

 

스텔라

 

고양이 스텔라를 출동시켜서 적의 시야를 마비시킵니다.
일반 적병은 6초나 시야를 좁게 하지만 판초경비는 좀 짧고, 롱코트는 아예 걸리지도 않습니다.
그리고 순찰중인 적은 고양이를 보고 잠시 멈춰섭니다.
고양이가 적에게 달려가서 도착을 해야 발동합니다.
덩굴과 사다리를 타고 계단을 달려서 문을 열고 적에게 돌진하는 엄청난 고양이지만 수영은 못합니다.
쇼다운 모드에서 예약을 걸면 고양이가 미리 달려가서 붙음으로 효율이 높습니다.

 

<스킬 - 정신지배>

 

정신지배

 

이사벨이 총을 사용하지 못하는 대신에 스킬로 피를 한칸 소진해서 적을 조정합니다.
조정당한 적은 총을 쏘고, 개는 상대방을 물고, 민간인을 주변 경비를 부릅니다.
총을 쏘는 경우 쏘려고 하다가 들켜면 살해당하고, 성공한 경우 한동안 들키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적들의 총소리가 커서 거의 그자리에서 살해당합니다.

총을 쏜 적와 정신지배 당한 적 2마리를 헤치울 수 있는데다가, 결속을 사용하면 3명을 핀포인트 살해가 가능합니다.
게다가 사고사 처리됩니다. 정신지배당한 적이 계속 살아있으면 기절하면서 지배가 풀립니다.
롱코트는 기절 중에만 지배할 수 있고, 또 정신지배당한 적에게 한대 맞은 경우 그 사람을 발견하면 헤치웁니다.
정신지배 기간에는 이사벨 본인은 못 움직이니 잘 숨기고 사용해야 합니다.

 

 

<스킬 - 흰독말풀>

 

흰독말풀


자신 혹은 동료의 체력을 한칸 체웁니다.
이사벨은 정신지배 스킬로 본인의 체력을 깍아먹음으로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평가 - 이사벨>

 

결속의 위력

 

가장 독특한 위치에 있는 케릭터로 고양이 스텔라를 사용해서 적 경비의 눈을 속이고 잠입하거나 쓰러트립니다.
정신지배는 특이한 스킬로 사실상 안전한 핀포인트 저격입니다. 그것도 한번에 3명 처리 가능한
결속을 이용해 대량 학살이 가능한데 특히 함정과 조합할 때는 가능성이 무한이 됩니다.
예를 들어 적을 한명 포박한다. → 결속한다 → 포박한 적을 소 앞에 가져다 주고 소가 뿔로 박도록 한다.
이 방법이면 포박한 적만큼 보너스로 경보 없이 헤치울 수 있습니다.(오래걸리기는 하겠죠.)
게임 내의 설명에서도 표현 되지만 응용력이 많은 만능 케릭터입니다.

반응형
728x90

<데스페라도스 - 모음>

 

게임소개 - https://toast-story.tistory.com/373
존 쿠퍼 -  https://toast-story.tistory.com/374

닥 맥코이 -  https://toast-story.tistory.com/375

핵터 맨도자 -  https://toast-story.tistory.com/376

케이트 오하라 -  https://toast-story.tistory.com/377

이사벨 모레아 - https://toast-story.tistory.com/378

적들의 종류와 상대하기 -  https://toast-story.tistory.com/379

 

 

케이트 오하라(Kate O'Hara)

 

케이트


시골 처녀 출신으로 예쁜외로로 동내 부자의 눈에 들었지만 사건이 일어나 쿠퍼일행과 함께 하게 됩니다.
하지만 무법자가 된 이후에는 특유의 성격으로 전혀 위화감없이 갱단의 일원이 됩니다.
변장능력이 뛰어나서 대부분의 미션이 케이트의 변장 전후로 나눌정도입니다.
이동능력이 약합니다. 옷 때문인지 덩굴이나 밧줄 사용 및 수영은 못합니다.
적을 포박할 수 없는 유일한 케릭터로 이건 벨런스를 위해서 그런것같습니다.
시체는 바닥에 끌고가는데 적의 2차 시야에 걸리지 않지만 느립니다.

 

 

<스킬 - 발차기>

 

근접공격 - 발차기


근접무기는 사용하지 못하지만 기절시키는 것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포박을 못해 다른 사람이 해주거나 아니면 쓰러진 적을 끌고 우물이나 절벽에 던져야 합니다.
기절한 사람을 숨기면 게임에서 배제되어 쓰러트린 것과 같아집니다.
그리고 2층이상 높이에서 떨어트리면 낙사합니다.
운반하는 도중에 기절게이지가 회복되지 않는 점을 이용해서 들고 있는 것도 방법입니다.

 

 

<스킬 - 향수병>

 

향수병


적의 시야를 좁게만드는 향수병을 던집니다. 지속시간이 4초라는 것 때문에 약해보입니다.
하지만 판초경비와 롱코트를 대상으로 페널티가 전혀 없습니다.
그래서 보기보다 메즈기 중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적진에 침입하기가 쉽다는 케이트의 특성상 먼저 들어가서 자리를 잡고 적들의 시야를 막으면서 동료의 행동을 돕습니다.

 

 

<스킬 - 매혹>

 

매혹

 

적 한명의 시야를 케이트 방향으로 돌려 계속 이야기 하게 만듭니다.
변장을 해야 사용 가능할 스킬로 시야를 돌리거나 순찰중인 적을 잡아둘 수 있습니다.
롱코트와 여성에게는 통하지 않습니다.
쿨타임 없고 제한 시간 없습니다. 마음만 먹으면 게임시작에서 끝까지 유지 가능합니다.
그리고 여러명이 순찰 혹은 대화 중인 경우 전원이 매혹에 걸립니다.
그 여러 명 중 한명이라도 면역인 여성이 있으면 통하지 않습니다.

 

 

<스킬 - 데린저>

 


케이트의 은신용 작은 총입니다.
사정범위는 총치고는 짧지만 전혀 단점이 못됩니다.
왜냐면 소음과 쿨타임이 엄청 적거든요
소음이 작아서 적들 진형 한가운데에서도 무리 없이 사용하기 좋습니다.
다른 케릭터가 총기 사용이 못하는 경우에도 몰래 들고 들어갑니다.

케이트가 살상능력이 없는 것을 보조하기 좋습니다.

 

 

<스킬 - 변장>

 

변장

 

케이트의 알파이자 오메가입니다.
롱코트를 제외한 모든 사람이 케이트를 적으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즉 개와 롱코트만 조심하면 뭐든지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 때문에 케이트는 적진 한가운데로 잠입하기 쉽습니다.
다만 적 시야안에서 수상한 행위인 향수병 던지기 발차기등을 하면 변장이 사라집니다.
다만 매번 변장할 옷을 구해야 하며, 그게 또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스킬 - 미끼>

 

미끼

 

변장을 하면 사용 가능한 스킬로 적을 다른 곳으로 이동 시킬 수 있습니다.
굉장히 좋은 스킬처럼 보이지만 일단 케이트가 적 옆으로 가야합니다.
거기다 롱코트, 판초, 여성에게는 통하지 않습니다.
통하는 적에게는 절대적이지만 면역이 많고, 걸어서 이동해서 이동시키는 거리가 생각보다 짧습니다.

 

 

<평가 - 케이트>

 

케이트의 미끼

 

변장 전에는 향수병 셔틀에서 변장 후에는 전장의 지배자로 변신합니다.
특히 미끼는 시야를 돌리고 이동을 시키는데 그 장소에 뭔가를 설치면 추가적으로 적을 먼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포박당한 적을 두고 아주 먼거리로 옮겨서 다른 경비의 시야에서 완전히 나가게 만들었습니다.
좀 느리기는 하지만 데스페라도스 3편 내에 이만한 유인기가 없다고 봅니다.

그래서 변장을 하지 않는 도전과제가 상당히 많은 편입니다.

반응형
728x90

<데스페라도스 - 모음>

 

 게임소개 - https://toast-story.tistory.com/373
존 쿠퍼 -  https://toast-story.tistory.com/374

닥 맥코이 -  https://toast-story.tistory.com/375

핵터 맨도자 -  https://toast-story.tistory.com/376

케이트 오하라 -  https://toast-story.tistory.com/377

이사벨 모레아 - https://toast-story.tistory.com/378

적들의 종류와 상대하기 -  https://toast-story.tistory.com/379

 

 

헥터 멘도자(Hector Mendoza)

 

헥터

 

쿠퍼의 오랜친구로 무법행위를 함께 저지르는 좋은 파트너입니다.
덩치가 큰 외모에 어울리게 힘이 아주 좋습니다.
이동능력인 덩굴이나 밧줄 사용 및 수영은 못합니다.
체력이 혼자 5칸을 가지고 있어서 적과 대치해도 쉽게 죽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체를 동시에 두명을 운반할 수 있고 그 상황에서 달릴 수도 있습니다.
퀘스트 아이템의 운반을 독점하고 있는데 짐꾼 처지에도 투덜거리지 않는 성격좋은 사람입니다.

 

 

<스킬 - 도끼>

 


근거리의 적을 쓰러트리는데 2.1초로 빠릅니다.
동전, 향수 같은 유인기로 한명의 시야를 마비시키고 그틈에 다른 한명을 노립니다.
게임내에서 트랩을 제외하면 롱코트를 한방에 보낼 수 있는 수단입니다.
롱코트가 상대일때는 쓰러트리는데 4.2초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특히 비살상 모드인 주먹은 매우 경쾌한 타격음이 중독성 있습니다.
주먹을 때릴 때"오함마로 망치질 당해본적이 있나"라는 대사로 그가 완력에 자신이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스킬 - 비앙카>

 

비앙카

 

비앙카는 곰 잡는 덫입니다.
적이 밟으면 한번에 덮치는데 주로 유인을 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죽는 시간이 5.4초로 엄청 길어서 좀 한가한 장소에서 사용해야 하니다.
설치도 그렇고 나중에 주워야 하는 문제 때문에 많이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헥터는 좀 비정상적으로 이 덫을 굉장히 애정합니다.

 

 

<스킬 - 휘바람>

 

휘바람

 

소음을 일으켜 적을 유인하는데, 스킬에 걸린 적은 핵터가 휘바람을 사용한 그 위치까지 걸어옵니다.
판초경비와 롱코트는 걸리지 않으나 일반 적들과 민간인은 범위내에서 전부 몰려 옵니다.
휘바람을 부르고 주변에 숨어있다가 근거리 공격으로 헤치우거나 덫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인을 한번하고 오는동안 숨어있다 다른 곳에서 다시 불면 또 따라옵니다.
그런데 두 번째는 뛰어오죠. 그렇게 부르다 뒤에서 동료로 처리하는등 활용도가 높습니다.

 

 

<스킬 - 소드오프 산탄총>

 

소드오프 산탄총


산탄총을 발사하여 범위내의 적들을 공격합니다.
롱코트는 한방에 쓰러지지 않지만 나머지는 한방에 처리 가능합니다.
소음이 무척 크지만 여러 마리를 동시에 보내기 때문에 쓸만합니다.
시야내의 적을 다 헤치우고 도망가면 되거든요.
경비초소 앞에서 기다리다 나오는 경비를 한번에 처리할 수도 있고요.
대기시간이 길어서 한방을 잘 선택해야 합니다.

 

 

<스킬 - 좋은 술>

 

좋은 술

 

헥터 전용 치료스킬입니다.
5칸이나 되는 그의 체력이 다 차니까 어지간하면 죽지 않는다는 컨샙에 맞습니다.
다만 맞아가면서 플레이하는 게임이 아님으로 역시 활용도는 낮습니다.
그런데 이자벨의 결속으로 헥터와 다른 케릭터를 묶어둔뒤에 사용하면 다른 사람은 기절합니다.

 

 

<특수스킬 - 시체 던지기>

 

시체 던지기

 

시체나 기절한 사람을 이동시킬때 던지기 스킬이 발동합니다.
앉은 자세에서 시체를 들고 있다가 시체를 던지는 모션을 할 때는 서있는 것으로 처리되고,

던진 후에는 다시 앉아 버립니다.

주먹으로 기절시킨 후에 포박한 적을 던지면 어떤 상태라도 유인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던진 시체에 맞으면 기절함으로 활용도가 끝도 없는 스킬입니다.

 

 

<평가 - 핵터>

 

포박한 적 던지기


단독으로 롱코트를 근접무기로 상대할 수 있어 활용도가 독보적입니다.
특히 포박한 적을 던지는 기술은 이 게임 최고의 유인 기술입니다.
경보없이 판초와 롱코트를 이동시키는게 가능하고 던지기로 높은 곳과 낮은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 조합으로 사실상 무리라고 생각하는 경비진형을 무너트리는 것도 가능합니다.
휘바람으로 적을 부르고 케이트가 적을 기다리다가 쓰러트리거나,

케이트로 유인한 후 헥터가 뒤에서 나타나는 작전을 즐겨 사용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