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는 주기억장치에서 모자란 메모리를 보조기억장치의 공간을 활용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Windows에서는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Windows10에서 매뉴얼로 가상메모리의 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사용합니다.

 

① Window 버튼에 오른쪽 클릭해서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② 아래 "정보" 탭을 선택한 후에 "고급 시스템 설정"을 클릭합니다.

 

고급시스템 설정 들어가기

 

③ 시스템 설정 "고급 탭"에서 성능의 "설정" 을 클릭합니다.

④ 다시 성능 옵션의 "고급 탭"에서 가상 메모리의 "변경"을 클릭합니다.

 

가상 메모리 설정으로 들어가기

 

⑤ 가상 메모리 창에서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에 체크를 해제하고,

"사용자 지정 크기"에서 숫자를 입력합니다.

혹은 아래 "페이징 파일 없음"을 클릭하면 가상메모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설정합니다.

 

 

320x100

 

 

<<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이유 >>

 

요즘은 꽤 많은 분들이 가상 메모리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무조건 많이 쓰거나 적게 쓴다고 좋은 것도 아니고,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사양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이유를 대표적으로 꼽자면,

 

  1. 메모리를 확장 가능합니다. 물리적인 메모리를 늘리려면 비용이 발생하는데 가상 메모리는 가지고 있는 장치를 SW에서 재구성 함으로 비용없이 사용가능합니다.
  2.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실행 중이지만 지금은 사용 중이지 않는 프로그램의 메모리를 보조기억장치로 옮겨 주기억장치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여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3. 다중 프로그램 실행시 특히 가상 메모리의 효과가 올라갑니다.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돌아가면서 사용하며 임시 장치에 계속 저장함으로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편리하게 사용합니다. 주 메모리 공간을 물리적으로 교체하는 수고와 신경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하며 특히 사용자의 경험과 관리 능력에 따라서 시스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동작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잘 사용하면 보기보다 큰 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하드디스크등 메모리를 활용함으로 쓸 수 있는 저장공간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역시 주기억장치가 충분한 메모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 성능이 뛰어납니다.

가상 메모리는 임시라고 생각하고 결국은 비용을 들여서 주기억장치를 많이 확보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