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요즘 눈이 침침한지 밝은 모니터 화면이 부담스럽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원래는 이 정도는 아니였는데 아침이나 저녁에 컴퓨터를 할때는 유독 느낌이 오네요.

나이를 드는 것 같아서 섭섭하기도 하지만 당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급하다고 봅니다.

 

하얀폴더가 신경쓰입니다.

 

바탕화면은 이미 검정색으로 설정해 두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폴더창이 하얀색이라 더욱 눈부신 것 같습니다.

윈도우의 창의 색상을 변경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Windows 설정창을 오픈하기

 

이 설정창으로 들어가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보통 왼쪽 하단에 있는 WIN 키를 오른쪽 클릭하면 설정 매뉴가 나옵니다.

이걸 클릭하면 설정창을 오픈 할 수 있습니다.

 

설정들어가기

 

 

② 개인 설정에 들어갑니다.

 

설정의 몇 가지 매뉴중에서 개인 설정을 선택합니다.

이 매뉴에서는 제공하는 창의 배경과 바탕화면, 잠금 화면의 색과 테마등 가시적인 옵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Windows의 인터페이스 인테리어를 설정하는 공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설정 들어가기

 

 

③ 색상 선택하기

 

왼쪽의 "색" 탭에서 들어갑니다.

Windows를 사용하면서 제공하는 기본 인터페이스의 테마색상을 변경합니다.

이걸 "다크"로 선택하거나 다크가 보이지 않는 경우에서는 "사용자 지정"을 선택하고 어둡게 변경하면 됩니다.

 

바로 다크로 설정하기(좌) / 사용자 지정에서 어둡게로 변경하기(우)

 

여담으로 위 기능의 "배경"에서는 바탕화면의 색상이나 그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미 "단색" - "검정"으로 설정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④ 적용결과 확인하기 

 

이제 운영체제에서 공급하는 기본 창들이 전부 어둡게 되었습니다.

눈의 피로도도 많이 떨어졌습니다. 디자인도 깔끔해서 보기 좋습니다.

 

적용결과

 


 

아무리 이래도 인터넷 홈페이지의 색상이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색상은 일일히 변경해야합니다.

일부 친절한 프로그램들은 윈도우의 색상과 연동되도록 해 두었지만 다 그런건 아니니까요.

눈이 피곤하다면 물리적인 환경 역시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모니터 멀리두기 : 책상위의 모니터는 가능한 30 ㎝ 이상 멀리 둡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30 ㎝가 최소임으로 그보다 더더 멀리 두어야 합니다.(제 주위에 모니터는 30 ㎝ 언저리에 두어야 한다고 알고 있는 분이 있습니다.)
  • 조명 조절하기 : 컴퓨터 할 때는 주변을 밝게 하세요. 모니터에 빛이 들어오기 때문에 주변이 어두워도 된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있는 것 같던데 안됩니다. 눈은 모니터와 주변을 동시에 보고 있음으로 주변이 어두우면 빛을 많이 받아들이려 합니다. 
  • 안경 사용하기 :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이 있는 안경을 사용합시다. 특히 수시간 고정된 자세로 컴퓨터를 하는 직업군이라면 시력에 상관없이 안경을 사용합시다.
  • 휴식하기 : 이게 가장 중요한데 요즘 휴대폰 때문에 잠시도 눈이 잠시도 휴식을 못 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식적으로 청소나 운동할 때라도 뭔가 빛나는 모니터류를 전부 제거하고 할 수 있도록 하세요. 특히 취침자리에는 폰을 치워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 안약 사용하기 : 눈을 촉촉하게 유지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구가 건조하다면 2시간에 한번정도 사용하고 그렇지 않는 분도 주기적으로 사용하면 안구의 스트레스가 줄어듬으로 좋습니다.
  • 안과가기 : 지속적으로 안구에 피로가 느껴진다면 안과를 찾아야 합니다. 동일한 증세가 계속 된다면 인터넷에서 문제 해결하는 방법을 찾으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게 불꺼놓고 폰을 한시간씩 하면서 블루베리만 먹으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더라고요.

먹는 것은 어디까지나 보조이고 위의 항목이 더욱 중요합니다.

물리적으로 눈이 무리를 안하는 것이 중요하고 피로를 느낀다면 가능한 즉시 혹은 시간을 내서 좀 쉬어주세요.

수면 시간을 늘리는 것도 많이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728x90
목차

1. 데이터 분석 활성화 하기

2. 난수생성 기능 사용하기

3. RAND 함수와의 차이점

4. 데이터 생성과 분석의 필요성

 

 

RAND() 함수로 하나의 난수를 만들 수는 있지만 산포를 형성하기에는 부족합니다.

엑셀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원하는 난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데이터를 무작위로 만들어서 모의분석을 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난수 생성"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데이터 분석 활성화 하기

 

엑셀의 초기 설정으로는 데이터 분석기능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습니다.

먼저 분석 기능부터 활성화 시켜야 합니다.

 

① 기능 활성화 하기

 

[상단매뉴]에 있는 [파일]을 선택하고 "엑셀 옵션"에 들어가야 합니다.

[옵션] - [추가기능] - [분석 도구 팩]을 선택 - [(추가기능) 이동]을 클릭합니다.

"추가 기능 선택" 상자가 활성화 되는데 여기서 "분석 도구 팩"에 체크를 해주고 확인합니다.

 

분석 도구 팩 활성화 하기

 

 

② DATA 분석 기능 확인하기

 

선택이 끝나면 엑셀이 추가도구를 설치하게 됩니다.

추가도구를 모두 선택하면 [상단매뉴] - [데이터] 탭에 [데이터 분석] 기능이 추가됩니다.

이후 엑셀이 실행하면 항상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재설치할 때까지는 유지됩니다.

 

추가된 기능

 

 

2. 난수 생성 기능 사용하기

 

① 통계 데이터 분석기능

 

데이터 분석 매뉴 아이콘을 클릭해서 실행합니다.

분석도구에는 여러가지 기능이 있지만 오늘은 그 중 "난수 생성"을 사용하겠습니다.

매뉴를 선택하고 활성합니다.

 

난수 생성 선택합니다.

 

② 난수의 종류 선택하기

 

다양한 종류의 난수가 있습니다.

분포에 따라서 선택할 할 수 있는 옵션이 조금씩 다릅니다.

이번에는 "정규 분포"를 선택해 보겠습니다.

 

정규분포 선택하기

 

③ 인수입력하기

 

그외의 옵션을 선택합니다.

정규 분포의 고유 인수는 평균과 표준편차입니다.

 

  • 변수와 난수 : 데이터의 배치를 선택합니다. 변수는 가로줄의 수이고 난수는 세로 데이터의 개수입니다.
  • 모수 : 정규분포의 고유 인수인 평균과 표준편차를 입력합니다. 입력한 양에 추종하여 데이터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다른 분포를 선택하면 각자 다른 인수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난수 시드 : 난수의 베이스가 되는 엑셀의 난수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에는 정수로 입력합니다.
  • 출력 옵션 : 데이터가 입력되는 장소를 지정합니다. 새로운 시트나 파일을 만들 수도 있고 셀에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입력 범위내에 이미 데이터가 있으면 덮어쓸 것인지를 확인하고 진행합니다.

 

난수 생성

 

 

④ 난수 형성결과 보기

 

변수는 가로줄 열의 개수가 되고 난수는 세로줄의 데이터의 수가 됩니다.

위에 처럼 입력하면 3 x 100개의 난수가 형성됩니다.

이렇게 여러 조건의 난수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형성결과

 

 

3. RAND 함수와의 차이점

 

RAND 함수는 난수를 일정하게 형성합니다.

즉 수가 많아지면 범위내에서 일정하게 형성된다는 뜻입니다.

데이터 분석 기능으로 정규분포로 만든 데이터와 비교를 하면 더욱 알기 쉽습니다.

 

형성한 DATA

 

위의 그래프를 보면 특성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RAND 함수는 벽에 막힌 것처럼 네모나게 산포가 형성됩니다.

반면 정규분포로 형성된 경우에는 평균인 0에 가까우면 많아지고 튀는 데이터가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필요한 데이터를 형성할 때 RAND 만으로는 힘든 일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4. 데이터 생성과 분석의 필요성

데이터 생성 기능은 통계 스터디를 하기가 좋습니다.

DATA만 보고 미래가 예측이 어려울 때는 비슷비슷한 산포를 여러 개 만들어 보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그 과정에서 분석 실력도 늘게되고요. 이런 공부를 안하면 꽤 답답하게 일이 진행되는데요.

제 사례를 하나 공유해서 왜 이런 데이터 생성작업과 분석이 필요한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사례>

 

우리가 개발을 할 때는 초도 산포를 얻어내고는 합니다.

그리고 양산을 시작하고 2 ~ 3달만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있던 일이 모델이지만, 이 데이터는 가상의 데이터입니다.)

 

똑같은 산포입니다.

 

① 어떤 사유로 월 생산량 500대의 모델이 개발에만 1000대를 생산해서 납품하게 됨

② 개발시에는 불량이 1개도 나오지 않고 충분히 많은 수량을 생산했기 때문에 순조롭게 양산 이관됨

③ 양산시 불량이 0.5% 이상 발생 이슈가 발생함 

→ 해당 불량은 사용자의 부상을 만들 수 있어 마침 다른 프로젝트가 끝난 필자가 급하게 투입됨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이지만 개발팀에서는 개발시 상당수량 제작한 점을 무기삼아 생산팀의 관리 문제를 주로 삼았으며,

생산팀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며 산발적으로 불량이 계속 발생한다는 말만 되풀이 했습니다.

문제를 파악하고 말고를 떠나 개발시의 "초기산포"를 뽑아보자마자 답이 나왔습니다.

충분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산포로 순전히 "우연히" 개발 때 문제가 발견안된 것 뿐이였습니다.

관리부분이 아니라 개발 스펙을 만지고 부품 산포를 축소해서 산포 자체를 축소해야 했습니다.

 

가장 기본 산포만 뽑아도 제조 팩터를 개선할 것이냐 개발 펙터를 개선할 것인지 방향을 잡을 수 있습니다.

지금 생각해도 데이터 생성을 몇 번만 해도 개발 때 산포가 나쁘다는 것을 알았을 것인데,

기계적으로 불량만 안난다고 안심한 것이 문제가 아닌가 합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통계적인 분석을 내세우기보다는 그냥 각 팀을 설득시켜서 개선을 진행했습니다.

여러 날을 데이터 조차 보지 않고 불량율만 가지고 소모전을 펼쳐 옆 팀에서 제가 투입되야 하는 상황을 만든 사람들을 상대로 논리적인 분석이 필요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면 끝도 없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서로 입장만 반복하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물론 개발자들이 데이터에 대한 공부를 할 짬이 없다는 것을 잘 알지만 정도란 것이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시간을 내서 한번 공부해두면 상황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좀더 나은 눈을 얻을 수 있을꺼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728x90

프로그램을 하다보면 여러가지 경우에 랜덤한 수가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 게임들에서 임의의 동작, 적들의 위치나 수를 결정하기
  • 암호화 알고리즘을 실행할 때
  • 시물레이션에서 조건을 설정할 때
  • 소프트웨어를 테스트 하기위해 임의의 경우를 설정할때

같은 것들이 있고 그외에도 다양한 이벤트에서 필요합니다.

엑셀에서는 그만큼은 아니지만 데이터를 다루는 만큼 임의의 수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1. RAND 함수로 난수 만들기

 

RAND() : 0 이상, 1 미만의 실수인 난수를 반환합니다. 

  • EXCEL2010부터는 Mersenne Twister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숫자가 유사하게 분포됩니다.
  • RAND 함수는 () 안에 인수를 입력하지 않고 숫자나 문자를 입력할 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 수식을 갱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매번 갱신됩니다.

 

엑셀 계산옵션의 디폴트는 시트에 데이터가 입력되면 매번 함수를 다시 계산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매번 시트를 입력할 때마다 수식이 갱신됩니다.

원하지 않으면 [엑셀 옵션] - [수식] - [계산옵션]에서 수동으로 계산하도록 해야 합니다.

 

계산옵션

 

그리고 수가 계속 변하는 것이 좋기도 하지만 만들어진 수를 저장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몇가지 있습니다.

 

① 만들어진 수를 복사해서 "선택하여 붙여넣기"에서 "값만 붙여넣기"를 사용하면 됩니다.

 

값만 붙여넣기

 

② 혹은 RAND() 함수를 입력하고 ENTER를 치지 말고 F9로 입력하면 함수가 아닌 숫자가 생성됩니다.

이 상태에서 입력하면 함수가 아니고 숫자 형식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더 이상 변경되지 않습니다.

 

F9로 함수 입력하기

 

 

2. 난수 범위 조정하기

 

RAND() 함수는 숫자를 0 ≤ rand < 1 의 범위에서 함수를 만듭니다.

보다 큰 수를 만들고 싶으면 rand 함수에 사칙연산을 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 rand * 10 → 0 ≤ rand < 10의 범위에서 난수생성
  • rand * 2 - 1 → -1 ≤ rand < 1의 범위에서 난수생성
  • rand - 1 → -1 ≤ rand < 0의 범위에서 난수생성

rand 함수는 소수점 아래로 많이 만들기 때문에 ROUND 함수나 INT 함수와 함께 써야 합니다.

예) =int(rand() * 100) → 0 ~ 100까지의 자연수 중에 하나 생성하기

 

 

 

 

3. RANDBETWEEN 함수

 

RAND 함수를 사용해서 범위를 조정하는 것이 너무 자주 되니 다른 전용함수가 있습니다.

 

RANDBETWEEN(bottom, top) : 지정한 bottom과 top 사이에 임의의 난수를 형성합니다. 이 함수는 결과값이 정수로 반환되어 소수점이 없습니다.

  • bottom : 함수에서 반환하는 값의 하한치입니다.
  • top : 함수에서 반환하는 값의 상한치입니다.
  • 함수의 인수인 bottom과 top은 소수점이 있어도 되지만 결과는 정수만 반환됩니다. 그래서 RANDBETWEEN(0, 0.5)를 입력하면 항상 0을 반환합니다.

예) =RANDBETWEEN(-10,10) → -10에서 10 사이의 정수를 반환합니다.

 

엑셀의 랜덤함수는 큰 사이클에서 엄밀하게 보면 규칙성이 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일상적인 수준에서는 사용에 문제가 없고, 빠르고 사용이 쉽습니다.

 

 

 

 

 

 

 

 

반응형
728x90

1. 수형도의 의미

 

수형도(tree diagram)는 계층적으로 구조화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주로 의사 결정 트리, 조직도, 계통도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영어 이름으로 Tree를 사용하듯이 보기에 나무가지가 길게 뻗은 것 처럼 생겼습니다.

 

수형도의 예(출처 : 위키백과)

 

 

2. 수형도의 구성요소

 

수형도의 구성요소

 

① 뿌리(Root) : 수형도가 시작되는 지점으로 모든 노드들의 상위가 됩니다. 너무 당연한 경우에는 생략할 때가 많습니다. 위의 예시처럼 "식물"이라는 뿌리를 굳이 적지 않아도 모든 사람들이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② 가지(Branch) : 뿌리에서 시작하여 노드들을 연결하는 선으로 상위노드와 하위노드를 연결합니다. 동일안 레벨의 노드에서 하위 노드로 내려갈 때 규칙이 같아야 합니다.

 

③ 노드(Node) : 계통도의 각 요소로 뿌리를 시작으로 특정한 규칙으로 만들어진 가지를 따라 내려오면서 작성되는 데이터를 이야합니다. 상위노드와 하위노드로 이루어져 있으면 분류 기준에 따라 계속 전개할 수 있습니다.

 

④ 종단 노드(Leaf Node) : 뿌리의 반대로 노드의 전개가 끝난 마지막 하위 노드입니다. 상위노드와 같은 구성요소일 수동 있지만 수형도의 목적에 따라 최종적인 결론을 기입하여 마무리하기도 합니다.

 

 

3. 수형도의 예시

 

인자가 적은 경우의 수를 나타낼 때 흔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B, C 경기를 할때 각각 경우의 수를 나열할때 8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A, B, C가 각각 1번씩 이겨서 결승전이 필요한 경우가 2개입니다.

 

경우의 수를 나열하기



또 다른 흔히 볼 수 있는 수형도는 진화론에서 많이 사용하는 계통도입니다.

진화론을 기적으로 한 생물에서 다른 생물과의 관련도로 많이 나타냅니다.

이렇게 나타내면 생물의 진화측면에서 유사성을 판단해서 연구를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진화론은 아직 발전중인 학문으로 여러학자들이 공감을 하는 큰 계통도를 기반으로 연구를 시작합니다.

새로운 증거가 발견되어 다른 가설이 가정되면 계통도를 수정하는 방법으로 학자들끼리 소통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가설의 계통도(출처 동아 사이언스)

 

위 그림의 a와 b는 서로 다른 근거로 계통도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자신의 논리만 전개하면 아무리 분야의 전문가라도 쉽게 알아듣지 못합니다.

새로운 가설이 기존 계통도를 어떻게 변경하는지 그려보면 이해도가 커지게 되니다.

또 작성자가 연구할 때부터 자신의 가설에서 모순을 발견하기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4. 그외의 사용분야

 

한눈에 봐서 파악하기가 쉬운 장점을 살려서 여러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프로세스(의사결정) : 다양한 회사에서 다양한 조건과 선택사항 있을 때 최적의 결정이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사용됩니다. 서로다른 이해관계 부서들이 모여서 같은 계통도를 공유한 이후 각 방안의 장단점을 의논해서 다음에 할 일을 결정하고는 합니다.
  • 프로그래밍 :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는 "무엇이 필요한지 = 요구사항"이 구체적이여야 좋은 결과가 나옵니다. 수형도 방식은 시각적으로 요소를 정리하여 문제를 구체화 시켜 놓치는 요소를 최소화합니다.
  • 통계 분석 : 보통 통계에서는 여러가지 결과가 나오게 되는데 그 결과들을 조합해야 올바른 분석이 가능합니다. 수형도는 조합을 전부 정리하는데 탁월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도구입니다.
  • 조직관리 : 회사의 조직도는 보통 수형도로 만듭니다. 상위부서가 하위 부서의 목록만 봐도 해당 조직의 특성을 알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한민국 행정부 조직도

 

반응형
728x90

텍스트와 숫자가 한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숫자만 추출하고 싶을 때가 많습니다.

모든 글이 "OO회차" 같이 숫자+문자로 고정된 형태라면 mid, left, right 함수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불규칙하게 복잡하게 섞여있다면 여러가지 절차를 거치거나 숫자인지 판별해야 합니다.

 

 

1. 함수내용

 

여러 절차를 한개의 함수 안로 작성하는 것이라 상당히 길게 작성이 됩니다.

셀주소 "A1"에 있는 글자에서 숫자만 추출하는 함수입니다.

CONCAT, IF, ISNUMBER, VALUE, MID, ROW, INDIRECT, LEN, VALUE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CONCAT(IF(ISNUMBER(VALUE(MID(A1,ROW(INDIRECT("1:"&LEN(A1))),1))), VALUE(MID(A1,ROW(INDIRECT("1:"&LEN(A1))),1)), ""))

 

 

2. 동작 예시

 

소스가 복잡해서 한눈에 알기는 힘들지만, 복사해서 붙여 넣으면 여튼 동작은 합니다.

배열함수임으로 복사해서 붙여넣은 후에 Ctrl + Shift + Enter를 입력해야 합니다. 

숫자형식으로 만드어져서 저 상태에서 +,-,/,*등의 연산을 해도 문제없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방식은 아니겠지만 여러가지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 동작하기

 

 

 

 

 

3. 함수 동작방식

 

이제 동작 방식을 조금 알아보겠습니다.

이 부분부터는 함수의 기능을 어느정도 알고 있는 분들이 보기를 바랍니다.

작동하는 순서대로 안에서부터 하나씩 기능을 설명하겠습니다.

 

함수 동작순서

 

 

① MID 함수 : 글자에서 일부만 추출하는 함수입니다. 원하는 "A1"셀을 가져와 지정된 문자수만큼 문자를 추출하는 함수인데, 글자수를 1로 고정하여 1개만 불러오도록 했습니다.

② ROW 함수 + INDRIECT(LEN) 함수 : ROW함수를 지정된 행번호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INDIRECT 함수는 문자열 형식의 참조를 만드는데 LEN 함수를 포함하면 1~글자수만큼의 숫자를 형성합니다.

이 문구가 "배열"을 형성해서 "A1" 셀에 있는 글자 수만큼 {1, 2, 3, 4, ... , 글자수(N)} 배열(행렬)을 만듭니다.

앞의 MID함수를 이용하면 "A1" 셀의 글자를 쪼개서 한글자씩 반환하는 함수가 됩니다..

③ VALUE 함수 : 이렇게 추출한 글자를 숫자형식으로 변환하는데 숫자가 아닌 경우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VALUE 함수가 없다면 숫자 2가 있다고 해도 문자형식으로 받아들입니다.

④ ISNUMBER 함수 : VALUE를 정상적으로 통과해서 숫자로 변환된 경우 1을 반환하고, 아닌 경우에는 0을 반환합니다.

⑤ IF 함수 : ISNUMBER에서 숫자로 판명되어 1(TRUE)로 반환된 경우 그 숫자를 그대로, 0(FALSE)이 된 경우에는 ""(빈칸)으로 반환하게 합니다. 이 ""를 ","로 변경하면 모든 텍스트가 ,(쉼표)로 반환됩니다.

⑥ CONCAT : 글자 하나씩 판명한 결과를 한 셀에 합칩니다. CONCAT 함수가 없다면 숫자들이 {1, 2, 3 ...} 식으로 여러개로 반환됩니다.

⑦ 결과 : ROW+INDIRECT(LEN)으로 배열을 만들고 MID함수가 한글자씩 추출합니다. 그걸 VALUE를 써서 숫자로 바꾼후에 ISNUMBER로 숫자인지 아닌지 검사해서 IF로 분리합니다. 그리고 CONCAT으로 다시 합쳐 결과로 반영합니다.

 


 

문자에서 숫자만 혹은 특정한 규칙만 추출하는 기본 기능, 함수가 있어도 될 것 같은데 없습니다.

그래서 여러가지로 공부를 많이하게 되었습니다.

여러가지 함수나 기능들을 사용했지만, 오늘 본 함수가 아마 최종판일 것 같습니다.

복잡해서 저도 사용할 때마다 이렇게 미리 적어둔 곳에서 복사 붙여넣기로 사용합니다.

하시는 일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스프레트워크시트 프로그램인 엑셀은 여러가지 시트로 구성됩니다.

한개의 시트를 복사해서 붙여넣는 식으로 많이 사용하는데요.

그때그때 알아서 이름순으로 잘 정렬한다면 문제는 없겠지만 어느새 섞여있다면 정리하기가 어렵습니다.

시트를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시트를 정렬하는 방법

 

① 마우스 클릭, 드래그 앤 드롭으로 옮기기

 

간단합니다. 그냥 마우스 드래그 앤 드롭으로 옮기는 것입니다.

단순한 만큼 쉽지만 조금만 시트가 많아져도 번거로운 방법입니다.

 

직접 옮기기

 

② 이동 / 복사 기능으로 옮기기

 

이동을 원하는 시트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고 "이동/복사"를 선택합니다.

이 곳에서 원하는 시트 위치로 이동하거나 복사합니다.

다른 시트나 새로운 워크시트 파일을 만들기도 좋은 필수 기능 중에 하나입니다.

 

이동/복사로 옮기기

 

 

2. 시트를 정렬해주는 VBA 코드(+사용법)

 

위에 방법들이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그것도 상식적인 경우에 입니다.

살다보면 워크시트가 수십개에서 백개가 넘는 파일도 만나게 됩니다.

그런 파일이 순서대로 정렬되지 않는 비정상적인 상황인 경우는 적겠지만 여튼 그럴 때를 위한 코드입니다.

 

① 개발도구 창을 엽니다.(Micro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워크시트 중 하나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코드보기"를 선택하거나

단축기 Alt + F11을 누르면 개발도구 프로젝트가 활성화 됩니다.

 

개발 도구 열기

 

 

② 아래 코드를 복사해서 붙여넣습니다.

 

일단 2013과 365 버전에서 실행시에는 문제없이 작동되었습니다.

하지만 작업환경에 따라서 100% 실행된다는 보장은 드리기 힘드네요.

이 코드를 코드창에 복사해서 붙여넣습니다.

 

Sub SortSheets()
    Dim i As Integer
    Dim j As Integer
    Dim tempSheetName As String

    For i = 1 To Sheets.Count
        For j = 1 To Sheets.Count - 1
            If UCase(Sheets(j).Name) > UCase(Sheets(j + 1).Name) Then
                tempSheetName = Sheets(j).Name
                Sheets(j).Move After:=Sheets(j + 1)
                Sheets(j + 1).Move Before:=Sheets(tempSheetName)
            End If
        Next j
    Next i
End Sub

 

 

③ 실행합니다.

 

실행은 저 상태에서 단축키 "F5"를 누르거나, 상단의 ▶ 버튼을 누르면 작동합니다.

 

바로가기키

 

제 환경에서 실행한 결과입니다.

가나다 순으로 깔끔하게 정렬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행한 결과

 

 

 

 


 

처음에는 어렵지 않은 기능이라서 기본 기능이 있는 줄 알고 찾았습니다.

없다는 것을 알고 이렇게 방법을 찾아서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마이크로 소프트사에서 사용빈도가 높지 않다고 판단해서 없는 것일까요?

추후 버전업에서 기능이 추가 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반응형
728x90

엑셀도 글을 쓰는 워드 포멧이고 많은 사람들과 공유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심지어 프리젠테이션에서 활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워드 디자인까지는 못가더라도 간단한 글자체나 강조 표시만으로도 내용은 좋아집니다. 

 

1. 글꼴 변경하는 기능들

 

[상단 매뉴] - [홈] 에 가장 기본적인 글꼴 기능이 존재합니다.

자주쓰는 기능들을 정리해두었습니다.

 

 

저기에 ↘버튼을 눌러서 글꼴 매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또 단축키 "Ctrl+1"이나 셀에 오른쪽 클릭한 후에 셀 서식에서 글꼴 매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셀서식의 글꼴

 

 

2. 글꼴에서 변경 가능한 것들

 

① 글꼴(글자체) 변경하기

 

그냥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엑셀만 설치된 상태에서도 상당히 많은 글자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별도로 font를 추가해 두었다면 운영체계의 폰트에 접근해 불러옵니다.

제가 사용하는 Windows 같은 경우에는 딱히 버그를 발견한 적은 없습니다.

 

글꼴

 

② 글자 크기 변경

 

글자크기는 포인트 단위를 사용합니다.

1pt = 1/72 inch = 0.3528 ㎜

일상에서 사용하는 크기가 아니라서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조금 힘들기도합니다.

출력본을 기준으로는 6 ~ 18 pt 정도가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서적같은 경우 10 ~ 12를 체택하고,

가독성이 중요하다면 14 ~ 18, 한페이에 내용을 체우는게 중요하다면 6 ~ 7정도 사용합니다.

상황에 따라 선택해주면 됩니다.

 

글자크기

 

③ 글꼴 스타일

 

글자를 굵거나 기울여서 표시합니다. 둘 다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강조하고 싶은 글자에 쓰는 방식으로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이것만으로 문서의 가독성이 올라갑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사용하면 오히려 보기 싫어져서 과유불급이라고 할 수 있죠.

 

글꼴 스타일

 

④ 밑줄을 사용하기

 

특정 내용을 강조시키는 방법으로는 밑줄을 빼먹을 수 없습니다.

엑셀에서는 실선, 2줄 실선을 그을 수 있습니다.

 

밑줄 사용하기

 

그리고 밑줄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일반"과 "회계용"입니다.

일반은 글자에만 줄을 긋고 회계용은 칸 전체에 가로줄을 사용합니다.

출력 문서를 기준으로 금액 기입란등에 사용하라고 만들어 둔 기능 같습니다.

 

일반/회계용

 

⑤ 글자 색 변경하기

 

글자의 색을 변경합니다.

하얀색 배경에 검은 글자가 가장 가독성이 좋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다양한 사유로 글자의 색을 변경하지만 배경때문에 안보일 때 많이 사용합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강조를 위한 빨강, 취소되거나 무효임을 나타내는 회색, 비교를 위한 파랑을 많이 사용합니다.

색이 들어간 글자는 굵음 처리를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글자색

 

⑥ 기타내용

 

취소선이나 글자 일부를 위 첨자나 아래첨자로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728x90

엑셀에서는 문서를 만들때는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시각화 툴을 사용합니다.

이런 기능은 "삽입" 메뉴에 있는 데 직접 그리거나 사진을 촬여하려면 가끔 한계가 있습니다.

엑셀에서는 많은 수의 이미지를 라이브러리로 지원합니다.

아이콘 기능은 문서의 접근성을 높이고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기능의 위치는 [상단매뉴] - [삽입] - [아이콘] 버튼을 눌러서 아이콘 창을 부릅니다.

 

스톡 이미지

 

여기에는 다양한 이미지가 지원됩니다.

분류는 이미지 / 아이콘 / 사람 / 스티커 / 일러스트레이션 / 만화 캐릭터로 구별합니다.

각 분류별로 안에 들어가면 다시 다양한 분류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미지 고르기

 

이미지가 상당히 많아서 검색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검색기능이 강력해서 유사한 단어를 입력하면 그 이미지에 맞는 그림들이 분류됩니다.

건물로 검색하면 다양한 모양의 건물들이 검색됩니다.

 

건물로 검색해보기

 

 

아이콘 기능으로 입력된 도형은 일반 도형과 다릅니다.

아이콘을 선택하면 활성화 되는 [상단매뉴] - [그래픽 형식] - [도형으로 변환]을 선택하면 나누어지는 그림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3중 화살표는 도형으로 변환하면 각각 하나의 화살표로 나누어 집니다.

그래서 따로 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형으로 변환하기 기능

 

 

인터넷에서 아이콘을 받아서 문서에 넣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엑셀의 아이콘을 직접 사용하는 경우에는 편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외부그림을 입력한 것과 달리 도형 그자체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설정에 따라 변화하는 그림

 

 

정말 많은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니 한번쯤 클릭해서 이것저것 둘러보세요.

의외로 자주 사용하는 그림을 발견할 지도 모릅니다.

반응형
728x90

< 업종과 업태 >

 

세금을 내는 것은 국가와 공공의 이득을 위해 아주 필요한 행위입니다.

내는 돈 그 자체도 중요하지만 세금을 통해 정보가 모인 다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농업에서 세금이 발생했는지 공업에서 발생했는지 국가가 알아야 합니다.

이렇게 모인 정보는 세금을 사용하기 위한 방향을 수립하는데 사용됩니다.

그래서 사업자에게는 어떤 업종을 수행해서 수익을 낼 것인지 신고를 하게 합니다.

 

업종 코드 목록

 

업종과 업태를 등록하는데 각각에 코드를 부여되어 있습니다.

  • 업종 : 큰 분류로 직업, 판매방법,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말합니다.
  • 업태 : 업종안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취급하는지를 분류합니다. 
  • 예로 업종은 "농사를 지어서 물건을 파는지", "농사를 짓기위한 노동력을 제공하는지" 등등에 따라서 분류되어 있고,
    업태는 "쌀 농사", "배추농사" 등등 무엇을 취급하는지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세금을 신고할 때 미리 신고한 업종과 다른 곳에서 매출이 발생했을 때는 기타소득으로 분류합니다.

기타소득은 세금이 높으니까 미리미리 신고해야 합니다.

 

 

< 업종 신고하기 >

 

개인 사업자의 경우 홈택스에서 쉽게 업종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개인사업자는 어지간하면 대부분의 업종에서 쉽게 신고가 가능합니다.

 

① 홈택스 접속하기

 

홈택스에 접속하고 로그인합니다.

사업자 아이디나 인증서로 로그인합시다.

그런 후 상단 매뉴의 "국세증명 / 사업자 등록 세금관련 신청/신고"를 선택합시다.

 

홈택스 들어오기

 

 

② 정정 신고 매뉴로 들어갑니다.

 

매뉴창에서 "개인 사업자 등록 정정 신고"를 선택합니다.

 

사업자 등록 정정신고

 

 

③ 사업자 등록번호를 선택합니다.

 

여러 개를 등록하셨다면 드롭박스에서 선택하셔야 합니다.

저는 하나라서 바로 "조회하기"로 들어갔습니다.

 

조회하기

 

 

④ 정정할 항목 선택합니다.

 

어떤 항목을 정정할지를 선택합니다.

이번에는 업종에 관한 내용을 정정할 것임으로 "업종 정정"의 체크박스를 정정으로 합니다.

"다음" 버튼을 눌러서 넘어갑니다.

 

정정할 내용 선택하기

 

 

⑤ 지금 상태를 확인하고 수정할지 추가할지를 선택합니다.

 

지금 등록한 업종의 리스트를 볼 수 있고, 삭제할지 수정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새로운 항목을 추가할 예정임으로 "업종 입력/수정"을 선택합니다.

 

업종 입력/수정으로 들어가기

 

 

⑥ 업종 코드를 검색합니다.

 

"업종 선택" 매뉴창이 열립니다.

구분에서는 부업종을 선택하고 업종 코드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업종 선택 매뉴

 

 

⑦ 업종 코드 목록을 조회합니다.

 

미리 업종코드를 알고 있다면 바로 입력하면 되고,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면 내용을 입력하고 "조회하기"를 통해 검색합니다.

분류와 적용범위 및 기준을 확인하고 선택합니다.

자기가 하고자 하는 사업이 어디 소속되는지 업종은 미리 조사를 좀 해와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업종 코드 조회

 

"선택"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업종의 정보가 입력됩니다.

"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하고 아래의 "업종등록"을 클릭하면 정보가 입력됩니다.

 

선택하기

 

 

⑧ 정보 공유에 동의하고 저장합니다.

 

 

 

 

⑨ 제출서류를 선택합니다.

 

제출서류는 여러개가 있습니다. 미리 스캔하거다 다운받은 서류를 업데이트 합니다.

이 것 전부를 필수로 제출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사업자등록증은 필수이고 그 외 자료가 있으면 추가를 합니다.

법인의 경우에에는 건물 도면과 기타 근거를 추가하는게 좋지만 개인사업자는 상관없습니다.

관련 법령에 따라 제한이 있는 업종이 아니면 크게 엄격하게 확인하는 것 같지는 않더라고요.

 

제출서류 선택

 

 

여기까지 입력했다면 그 뒤는 단순하게 입력하면 됩니다.

 

 

 

 

반응형
728x90

엑셀에서는 여러 상황이나 시나리오에 따라서 데이터가 변하면 계산결과가 같이 변합니다.

변화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시나리오 관리자의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예시

 

월 납입하는 적금이 끝나고 나면 복리로 일정기간 넣어두는 상품의 변화를 분석하고 싶습니다.

우선 위에처럼 수식을 넣어서 계산을 하도록 만들어줍니다.

 

 

① 시나리오 관리자를 오픈합니다.

 

[상단매뉴] - [데이터] - [가상분석] - [시나리오 관리자]를 클릭해서 오픈합니다.

처음에는 시나리오가 없기 때문에 "추가" 버튼을 클릭해서 입력창을 오픈합니다.

 

시나리오 관리자

 

 

② 변경할 데이터를 입렵합니다.

 

시나리오를 추가합니다.

"시나리오 추가" 창에서 변경할 셀을 선택하고 시나리오 값을 입력합니다.

리스트가 추가 됩니다.

 

 

③ 시나리오에 따라서 표시를 변경합니다.

 

"표시"를 클릭하면 시나리오의 숫자가 변합니다.

 

표시변경하기

 

 

④ 요약으로 시나리오를 정리합니다.

 

시나리오 관리자에서 요약버튼을 누릅니다.

데이터가 변경되면 수식결과 셀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시트가 하나 만들어지면서 시나리오를 정리해줍니다.

 

시나리오 요약기능

 

시나리오 관리자 리스트에 들어있던 데이터들을 변경해가면서 보고서가 생성됩니다.

 

시나리오 요약 결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