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얼마를 모아야 할까

 

돈을 모을때는 이자를 공급 받을 수 있습니다.

이자와 기간, 목표액이 있다면 매번 얼마를 모아야 할지 계산해야 합니다.

매번 납입하는 금액을 계산하는 PMT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320x100

 

2. PMT 함수

 

PMT(rate, nper, pv, [fv], [type]) : 어떤 기간동안 이자를 받으면서 저축할 때 매번 납입해야 하는 금액을 구해줍니다.

 

  • rate : 대출 혹은 저축의 이자율입니다.
  • nper : 대출금 총 상환 횟수입니다.
  • pv : 대출액 혹은 현재 잔금입니다.
  • [fv] : 마지막 결제가 이루어진 후 이루고자 하는 잔액입니다. fv를 생략하면 0으로 가정됩니다. 
            저축을 할 때는 목표액이 됩니다.
  • [type] : 0 또는 입력하지 않으면 주기의 말에 금액을 내고, 1은 초기에 금액을 지급합니다. 
    - 0은 이자가 먼저 발생하고 후에 금액을 넣고, 1은 금액을 먼저 계산한 후에 이자를 가합니다.
    - 0은 우리가 일반적인 대출에 사용하고 1은 보통 연금에 사용하는 방식입니다.(다 그런건 아닙니다.)

 

함수로 계산할 때는 세금, 대출 수수료, 기타 부대비용, 현금가치의 감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현실에서 투자할 때는 이런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3. 사용예시

 

저축할때는 FV에 목표액을 기입하면 되고 대출을 할 때는 PV에 대출원금을 입력하면됩니다.

이자와 기간을 입력하면 PMT 함수가 매번 납입해야 하는 금액을 알려줍니다.

 

예시

이자 5%10년간 1억을 모으려면 매년 약 795만원을 모아야 합니다.

 이자 5%10년간 1억을 갚으려면 매년 약 1295만원을 납입해야 합니다.

이자 10%로 10년간 1억을 모으려면 매년 약 1637만원을 모아야 합니다.

이자 10%로 10년간 1억을 갚으려면 매년 약 2638만원을 납입해야 합니다.

 

이렇게 대출을 하거나 목표액을 가지고 돈을 모을때 계획을 세우기 유용합니다.

하지만 기다 부대 자금이나 현금가치 감소가 포함되지 않는 부분은 감안하셔야 합니다.

 

4. 기타

 

재무관련한 이야기를 하면, 돈을 모으는 것이 대출로 먼저 빌리는 것보다 효과적이라고 설명드립니다.

하지만 투자를 해서 수익을 낸다면 빠른 투자를 해야 하겠죠.

하지만 불안정한 투자라면 대출에 의해서 리스크가 배가 됩니다.

 

 

 

반응형
728x90

1. 연금을 받아 봅시다.

 

연금 수령방식

 

보통 퇴직금이나 연금저축을 일정 액수가 모이면 천천히 수령을 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1억이 모이면 매년 1100만원씩 10년을 받는 식이죠.

총 1억 1천만원으로 이익을 보기는 하지만 정확한 이자율이 얼마나 될까요?

그걸 계산하는 Rate 함수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320x100

 

2. RATE 함수

 

RATE(nper, pmt, pv, [fv], [type], [guess]) : 연금 혹은 대출의 기간별 이자율을 계산합니다.

 

  • nper : 총 납입 기간 수입니다.
  • pmt : 기간별 납입액으로서 전 기간 동안 일정합니다. pmt를 생략할 경우 fv 인수를 반드시 지정해야 합니다.
  • pv : 현재 가치는 앞으로 납입할 일련의 금액이 갖는 현재 가치의 총합입니다.
  • [fv] : 마지막 결제가 이루어진 후 이루고자 하는 미래 가치 또는 현금 잔액입니다. fv를 생략하면 0으로 가정합니다. fv가 생략된 경우 pmt 인수를 포함해야 합니다.
  • [type] : 0 또는 입력하지 않으면 주기의 말에 금액을 내고, 1은 초기에 금액을 지급합니다. 
    - 0은 이자가 먼저 발생하고 후에 금액을 넣고, 1은 금액을 먼저 계산한 후에 이자를 가합니다.
    - 0은 우리가 일반적인 대출에 사용하고 1은 보통 연금에 사용하는 방식입니다.(다 그런건 아닙니다.)
  • [guess] : 추정되는 이자율을 입력합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10%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Rate 함수는 이자율을 반복해서 계산해서 아주 가까운 값으로 추정합니다.

어지간하면 오차가 발생하지 않지만 못찾겠다고 판단하면 #N/A 를 출력합니다.

연속적으로 계산해서 20번동안 0.0000001 이내로 수렴하지 않으면 에러를 띄운다고 하네요.

 

 

3. 사용예시

 

본래 목적인 연금의 이자율을 계산할 수도 있지만 인수 [fv]를 이용하여 목표액을 달성하는 이자율도 구할 수있습니다.

 

매월 120번(10년) 동안 65만을 받는 연금의 초기액이 7천만원이면 월 이자 0.182%로 예상합니다.

초기액 7천만원을 넣어두고 10번(년) 동안 매번 780만원씩 받으면 연이자가 2.018%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①"를 연으로 계산한 것입니다. )

120번(10년) 동안 65만원씩 저축해서 1억을 모으려면 월이자 0.402%여야 합니다.

10번 동안 780만원을 저축해서 1억을 모으려면 연이자 5.409%여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1. 할인율의 뜻

 

투자에 대한 기대수익을 현재가치로 계산할 때 사용되는 금리.
미래에 내가 벌 금액이 지금 상황에서 얼마인지 계산하는 비율
미래의 현금(cash flow)을 현재의 가치로 바꾸는 것'할인한다'고 하고 이때 적용되는 비율이 할인율이다.

 

돈의 가치는 항상 변화합니다. 

그래서 더 벌기 위해 설비를 투자를 결정해야 하거나 연봉을 비교하기가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재무 함수 PV)

엑셀의 순현재 가치를 계산하는 NPV 함수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320x100

 

2. NPV 함수의 인수

 

NPV(rate,value1,[value2],...) : 할인율을 감안하여 미래의 투자액(음수)과 수입(양수)로 현재가치를 계산하여 투자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결과가 양수이면 이익이고 음수이면 손해입니다.

 

  • rate : 일정 기간의 할인율입니다.
  • value1, value2, ... : 지급액과 수입을 표시하는 인수로, 1개에서 254개까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시간 간격이 같아야 하며 각 기간 말에 발생해야 합니다.
                                    순서대로 현금이 이동했다고 해석합니다.
  • 숫자로 나타난 항목은 인수는 계산에 포함, 오류 값 또는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텍스트로 지정된 인수는 무시됩니다.

 

이 함수는 시간이 지나면서 예상되는 현금흐름을 입력하면 그것이 지금 얼마인지 계산을 합니다.

현재가치를 계산하는 PV 함수와 비슷하지만 현금흐름을 직접 입력하는 것이 다릅니다.(

투자를 어디로 할지나 계약을 어떻게 할지를 결정하는 지표가 됩니다.

 

 

3. 예시 - 설비투자를 결정하기

 

할인율은 5%로 적용되는 상황에서, 설비를 사서 1년 동안 셋업하느라 금액을 2천만원 사용 했습니다.

2년차부터 돈을 벌어 들일때, 각 해에 5백, 6백, 천만원을 번다고 합니다.

 

 

단순한 SUM 함수로 계산을 하면 100만원 흑자라고 계산이 되겠습니다.

매년 5%의 현금가치 감소를 반영하는 NPR로는 110만원 정도 손해입니다.

예금이나 다른 투자를 통해서 현금가치를 보존하는 것이 추천되네요

 

 

4. 예시 - 연봉 계산하기

 

할인율은 5%로 적용하겠습니다.

A는 초기 3000만원이지만 1000만원씩, B는 초기 4000만원이지만 500만원씩 인상되는 직장을 비교하겠습니다.

 

 

5년 계약이라면 두 회사의 총수익은 2억 5천만원으로 일치합니다.

하지만 물가 인상율이나 현금가치 감소를 계산하면 B사가 더 이익이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시겠나요? 현금 가치는 계속 감소함으로 돈은 최대한 먼저 벌고, 지급은 나중에 하면좋습니다.

실재로 매너없는 기업들은 계약서나 법적근거로 돈을 지급해야 함에도 지급기한을 최대한 늦춥니다.

이런 효과가 있기 때문이죠.

머 살면서 모든 경우에 재무이익을 볼 수 없습니다. 어쩔 수 없을 때가 많습니다.

꼭 이익을 보지 않아도 투자로 인한 매출 증가, 영업망의 확장으로 판단해야 할 때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엑셀에서 이렇게 계산할 수 있음을 알고 더 이익을 보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728x90

1. 연금을 수령할 경우

 

연금을 수령할때 1년에 600만원의 20년간 받으면 1억2천만원입니다.

연금을 주는 입장에서 은행에 넣어두면 이자가 붙기 때문에 주는 돈이 있어도 이자가 도와줍니다.

즉 결과적으로 1억2천만원을 주더라도 사실 지금 필요한 금액은 그보다는 적다는 겁니다.

미래에 1억2천이 될 수 있는 지금 금액을 현재가치라고 합니다. 이 현재가치를 구하는 PV 함수를 알아보겠습니다.

 

매번 돈을 주지만 이자가 발생해서 조금 보태줍니다

 

320x100

 

 

2. PV 함수에 대해서

 

PV(rate, nper, pmt, [fv], [type]) : 대출하거나 투자하는 돈이 지금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 구합니다.
고정 이자율을 기반으로 대출 또는 투자의 현재 가치를 계산합니다. 

 

  • rate : 기간별 이자율입니다. 연이자가 5%라면 월이자는 5/12%로 계산해야 합니다.
  • nper : 총 기간의 수 입니다.
  • pmt : 매번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 [fv] : 마지막 납입을 하고 난 후에 잔액이나 대출액입니다.
  • [type] : 0 또는 입력하지 않으면 주기의 말에 금액을 내고, 1은 초기에 금액을 지급합니다. 
    - 0은 이자가 먼저 발생하고 후에 금액을 넣고, 1은 금액을 먼저 계산한 후에 이자를 가합니다.
    - 0은 우리가 일반적인 대출에 사용하고 1은 보통 연금에 사용하는 방식입니다.(다 그런건 아닙니다.)

 

 

3. 사용예시 - 연금과 대출의 현재 가치 구하기

 

현재가치를 구하는 것이 일상생활에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아래 예시를 보시면 PV 함수가 유용한 함수라는 것이 이해가 될 것입니다.

 

사용예시

 

① 연 이자 5%로 20년간 매년 600만원을 받는 연금을 주려면 지금 원금 7,851만원을 준비하면 됩니다.

    = 지금 7,851만원(현재가치)을 연 이자 5%를 받으면 20년 동안 매년600만원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② 연 이자 5%로 20년 저축하여 5천만원이 되려면 지금 1,884만원을 저축하면 됩니다.

    = 지금 1천8백만원(현재가치)연 이자 5%로 저축하면 5천만원을 저축 할 수 있습니다.

③ 연 이자 5%일때 20년동안 연 600만원씩 갚는 빛은 지금 7,477만원의 가치가 있습니다.

    = 지금 7,477만원(현재가치)을 빌리면 연 이자 5%로 매년 600만원씩 갚아야 한다.

 

 

4. 사용예시 - 줄어드는 가치 구하기

 

물가가 오르기 때문에 결국 돈의 가치가 줄어든다고 하죠.

줄어드는 정도에 따라 미래의 5천만원의 현재가가 얼마인지 보겠습니다.

 

 

위의 예시는 매년 3%, 4%, 5% 가치가 줄어들 때 20년 뒤의 5천만원은 지금 얼마랑 같은지 알려줍니다.

즉 제테크를 하나도 하지 않는다면 지금 1억이 넘는 금액이 미래에는 5천만원 가치를 지닌 다는 것이죠.

은행에 예금만 넣어두어도 많이 손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니 현금으로 너무 장기간 돈을 가지고 있으면 손해가 큽니다.

 

반응형
728x90

1. 얼마나 걸릴까?

 

목표액만큼의 자금을 모으려면 지금 초기비용이 얼마나 있느냐? 이자율매 주기(달, 연)마다 얼마나 모을 수 있는가?

같은 것들을 따져야 함니다. 엑셀의 재무 함수인 NPER은 그런 요소들을 계산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기간을 계산해 줍니다.

계산 방식은 항상 복리로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복리

 

1억을 모으려면 얼마나 오래 저축해야 하나?
1억을 갚으려면 얼마나 오래 납입해야 하나?

라는 의문이 오늘 알아볼 것입니다.

(저는 사회 초년생일때 궁금했지만 이 함수를 몰라서 엑셀로 하나하나 계산했었답니다.)

 

320x100

 

2. NPER 함수의 의미

 

NPER(rate,pmt,pv,[fv],[type]) : 현재 가치, 이자율, 지불금액, 미래 가치 등의 인수를 사용하여 기간을 계산합니다.

 

  • rate : 기간별 이자율
  • pmt : 한번에 납입하는 금액
  • pv : 총액수
  • [fv] : 지금 잔액
  • [Type] :  0 또는 입력하지 않으면 주기의 말에 금액을 내고, 1은 초기에 금액을 지급합니다. 
    - 0은 이자가 먼저 발생하고 후에 금액을 넣고, 1은 금액을 먼저 계산한 후에 이자를 가합니다.
    - 0은 우리가 일반적인 대출에 사용하고 1은 보통 연금에 사용하는 방식입니다.(다 그런건 아닙니다.)

 

 

3. 사용예시

 

예로 설명하겠습니다.

목표액만큼 돈을 도을 때는 [fv](지금 잔액)에 "-"로 기입해 줍니다.

돈을 갚을 때는 pv(액수)에 "+"로 기입합니다.

그리고 연이자 임으로 월로 보고 싶으면 나누기 12를 해 줍니다.

또 pmt(한번에 내는 금액)도 월납인지 연납인지 확인 합시다.

 

예시

 

위에서 부터

 - 연이자 5%매달 65만원1억을 모으고 싶다면 119개월, 즉 10.15년이 소요됩니다.

 - 연이자 5%1억을 대출해서 65만원씩 갚아 나간다면 246.39개월 즉 21년이 소요 됩니다.

 - 연이자 2%매달 65만원1억을 모으고 싶다면 137개월, 즉 11.53년이 소요됩니다.

 - 연이자 2%매달 65만원1억을 모으고 싶다면 177개월, 즉 14.96년이 소요됩니다.

 


4. 기타

 

 

여기저기서 같은 결과를 얻어내지만 금액만 생각하면 저축이 대출보다 효율적입니다.

재태크 계획을 세울때 편리한 엑셀 함수로 시물레이션을 해보는 거 잊지 마세요.

하지만 금리가 줄어들면 1억을 모으는데 걸리는 시간은 2년 늘었지만 갚는데는 6년이 줄어듭니다.

이는 현대사회가 투자지향적으로 가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결국 투자는 항상 리스크가 있습니다. 빚을 내서 투자를 했는데 손실을 본다면 손해는 배가 된다는거 잊지 마세요.

 

 

※ 현실에서는 물가가 올라 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저금리일때 투자효과가 더 높아집니다.
큰 돈을 장기간 운용해야 할 때는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반응형
728x90

1. 복리에 대해서

 

복리방식에 이자 계산에서는 이자에 이자가 붙기 때문에 기한이 지나면 큰 효과가 있습니다.

대출이야 요즘세상에 단리방식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은행 적금은 단리방식이 많지만요.

그러나 복리로 상품이 나오거나 이자를 지속적으로 공급 받을 수 있습니다.

 

복리의 의미

 

적금을 모으면 얼마가 되는지? 빛을 갚으면 얼마나 남는지?

이걸 대답해 주는 FV 함수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320x100

 

 

2. FV 함수의 뜻

 

FV(rate,nper,pmt,[pv],[type]) : 복리의 이자율을 가지는 금액을 모았을 때  혹은 부채를 갚아나갈 때 잔액을 계산합니다.
재무분석 함수로 엑셀 도움말에서는 "투자의 미래 가치를 계산합니다."라고 표현합니다.

  • rate : 기간별 이자율
  • nper : 납입횟수
  • pmt : 한번에 납입하는 액수
  • [PV] :  초기비용 혹은 빛의 잔액이 될 수 있습니다. 입력 안하면 0입니다.
  • [Type] :  0 또는 입력하지 않으면 주기의 말에 금액을 내고, 1은 초기에 금액을 지급합니다. 
    - 0은 이자가 먼저 발생하고 후에 금액을 넣고, 1은 금액을 먼저 계산한 후에 이자를 가합니다.
    - 0은 우리가 일반적인 대출에 사용하고 1은 보통 연금에 사용하는 방식입니다.(다 그런건 아닙니다.)

미래가치라고 하면 말이 어려운데요.

열심히 저축해서 미래에 모인 돈 또는 계속 빌렸을 때 미래에 쌓인 대출액이라는 의미 입니다.

 

 

 

 

3. FV 함수의 사용예시

 

예시를 보겠습니다.

입력할 때는 지출한 금액은 "-", 빌린 금액은 "+"로 표기합니다.

함수에서 출력되는 값은 "+"가 모인 금액, "-"는 빚입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5%, 2%는 연이자 임으로 월로 나타낼때는 나누기 12를 해줍니다.

 

예시

 

위에서 부터

 - 연이자 5%이고 월에 65만원을 입금합니다. 120개월(10년 후)에는 약 1억이 되는군요

 - 1억을 연이자 5%로 빌렸고 매월 65만원씩 갚아 나갑니다. 120개월(10년 후)에는 잔액이 약 6천3백 만원 남는 군요

 - 연이자 2%이고 월에 65만원을 입금합니다. 120개월(10년 후)에는 약 8천6백만이 되는군요

 - 1억을 연이자 2%로 빌렸고 매월 65만원씩 갚아 나갑니다. 120개월(10년 후)에는 잔액이 약 3천5백 만원 남는 군요

 

 


4. 기타

 

위의 예시의 결과가 어떻습니까? 금액이 바뀌면 비율도 바뀌겠지만 아래와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① 먼저 같은 금액이라도 저축하는 쪽이 미리 빌리고 갚는것 보다 효과적입니다.

  ② 하지만 이자가 40% 줄어들면 저축액은 15% 줄지만 대출 잔액은은 75% 줄어듭니다. 효율이 완전 다릅니다.

→ 즉 고금리일때는 적금과 저축에 힘이 점점 커지고, 저금리일때는 대출하여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얼마만큼의 이자율을 고금리와 저금리라고 부를지 그런 벨런스는 사람마다 다르겠죠.

자신의 재태크 계획을 세울 때 이런 시물레이션을 통해서 명확한 목표를 잡을 수 있습니다.

 

 

※ 현실에서는 물가가 올라 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저금리일때 투자효과가 더 높아집니다.

큰 돈을 장기간 운용해야 할 때는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반응형
728x90

데이터 분석의 가장 기본은 평균을 아는 것입니다.

우리의 생활에서도 평균가격, 평균기온, 평균 통행량 등등 평균을 자주 듣습니다.

평균에 대해 알아봐주는 AVERAGE 함수와 파생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AVERAGE 함수

 

AVERAGE(number1, [number2], ...) : 데이터의 평균을 구합니다. 셀이나 범위 혹은 숫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평균의 기본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평균

따라서 엑셀에서 =(3+5+6)/3 으로 공식을 직접 입력하여도 입력은 됩니다.

그러나 편리하게 계산하기 좋습니다.

 

 

2. AVERAGEA 함수

 

AVERAGEA(number1, [number2], ...) : 논리값을 포함한데이터의 평균을 구합니다. 셀이나 범위 혹은 숫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True는 1로 False 0으로 계산합니다.

 

함수 예상

 

AVERAGE 함수는 목록에 텍스트나 논리값이 있으면 무시합니다.

따라서 위의 예제에서는 AVERAGE = (1+2+3) / 3 = 2로 계산합니다.

AVERAGEA 함수는 텍스트나 False는 0으로 True는 1로 모두 집어넣어 계산합니다.

따라서 위의 예제에서는 AVERAGEA = (1+2+3+0+1+0)/6 = 1.16666... 으로 계산합니다.

 

 

3. AVERAGEIF 함수

 

요즘 엑셀을 조건부로 계산하는 함수들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평균도 조건에 따라 구할 수 있으면 유용한 경우가 많습니다.

 

AVERAGEIF(range, criteria, [average_range]) : 지정한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의 값들의 평균을 구합니다.

 

  • range : 검사조건을 수용할 범위입니다. crieria의 조건을 검사합니다.
  • criteria : 검사 조건입니다. 특정 값과 같거나(=), 크고 작은(>, <) 논리 연산자를 수행합니다.
  • [average_range] : 평균을 계산할 범위입니다. 비워두면 range와 같은것으로 계산합니다.

 

AVERAGEIF 함수 예시

 

 

4. AVERAGEIFS 함수

 

AVERAGEIFS(average_range, criteria_range1, criteria1, [criteria_range2, criteria2], ...)
 : 조건들을 입력하여 평균을 구합니다. 조건은 127개를 입력할 수 있어서 매우 긴 함수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조건 하나는 필수이고 나머지는 늘려나갈 수 있습니다.

함수는 줄바꿈을 못하기 때문에 조건이 늘수록 길어져서 보기 힘들어집니다.

 

 

  • average_range : 평균를 구할 셀의 범위입니다.
  • criteria_range1 : 조건을 검사할 범위입니다. 범위에서 항목이 발견되면 sum_range에 있는 해당 값을 더합니다.
                              Average_range와 행 또는 열을 공유하여 오류가 나지 않도록 합시다.
  • criteria1 : 조건입니다. 그냥 단일한 값이면 "=" 연산으로 계산하지만 다른 논리연산자도 입력할 수 있습니다.
  • criteria_range2, criteria2, : 추가적인 조건입니다. criteria_range와 criteria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입력하여야 합니다.

 

 

위의 예시는 날짜 2월 4일 이후에 항목별로 평균을 계산하는 수식이 됩니다.

조건에 연산자가 없으면 같다는 조건으로 인식합니다.

연사자를 사용하는 경우는 ">"&[셀주소] 같이 ""연산자와 &연산자를 이용해서 입력해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데이터를 입력할 때는 키보드에서 한글과 영문을 바꾸도록합니다.

우리가 구매하는 키보드는 한/영 키가 있어 편리하게 전환 가능합니다.(영미권에서 판매하는 키보드는 없는게 많습니다.)

윈도우에서는 우하단의 한/영 전환 버튼으로 언어 전환이 가능하고,

버튼을 오른쪽 클릭하면 전/반자 선택도 가능합니다.

 

한영전환 버튼

 

320x100

 

1. IME 모드의 위치

 

엑셀은 IME 모드로 이런 한/영 전환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데이터를 제한하는 유효성검사에 옵션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유효성 검사 보기)

제한하는 기능이도 아니고 꽤 강력한 기능인데 이런 곳에 숨어있네요.

 

 

 

2. IME 모드기능

 

IME모드가 설정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키보드의 언어가 고정됩니다.

하지만 IME모드를 설정하고 셀을 선택하면 입력 언어가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사용자가 언어전환을 하지 않아도 그 칸을 선택할 때 자동으로 언어가 설정됩니다.

즉 영어만 입력해야 하는 셀에는 자동으로 영어로 변경되게 하면 사용자가 편리해 지는 것이죠.

이거 입력할때 한/영키가 필요 없습니다.

다만 사용자가 강제로 언어를 변경해서 입력하는 걸 제한하지는 않습니다.

IME모드를 영문으로 하더라도 일단 셀을 선택한 후에 한글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전자 / 반자 구별하기

 

모드에는 일반 영문, 한글(반자) 외에 전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건 사실 타자기를 사용하던 시절의 잔재라고 볼 수 있는데 글자의 간격을 일정하게 할 지 결정하는 기능입니다.

우리눈에는 지금 사용하는 일반 형식인 반자가 익숙하죠.

영어는 가시적으로 차이가 큰데 한글은 글자 간격이 일정함으로 스페이스 키의 간격만 다릅니다.

전자/반자 차이

 

 

 

반응형
728x90
목록

1. 목록으로 제한하기

2. 숫자 제한하기(정수, 소수점, 날짜, 시간)

3. 설명 메시지 입력하기

4. 오류 메시지 변경하기

5. 잘못된 데이터 보기

 

엑셀 파일을 여러사람과 공유해서 사용한 적이 있나요?

사람마다 입력하는 것이 다르고 뛰어쓰기나 오타등의 문제로 데이터 정리가 아주 어려워지기도합니다.

입력에 서식을 제한하면 실수를 줄이고 의도된 대로 동작하게 하여 업무 시간을 단축 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셀을 클릭 혹은 범위를 설정하고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실행합니다.

기능의 위치는 상단의 [매뉴] - [데이터] - [데이터 유효성 검사]에 있습니다.

 

데이터 유효성 검사 실행하기

 

320x100

 

1. 목록으로 제한하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으로 특정 목록에 있는 값만 입력하도록 합니다.

"제한 대상"에서 "목록"을 선택하고 "원본"에 원하는 값들의 리스트(목록)의 위치를 입력합니다.

이 원본은 기본적으로 절대참조로 걸리게 되어있습니다.

목록 설정하기

설정된 셀을 클릭하면 오른쪽에 화살표가 생겨있습니다.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고 여기에서 값을 골라 넣도록 합니다.

직접 입력할 수도 있지만 리스트에 들어간 것과 토시하나만 달라도 경고창이 뜨니 선택하는게 편합니다.

 

리스트 생성

 

 

2. 숫자 제한하기(정수, 소수점, 날짜, 시간)

 

유효성 조건을 정수, 소수점, 날짜, 시간을 선택하여 제한할 수 있습니다.

정수로 선택했을 때 소수점을 넣거나, 텍스트를 입력하면 오류메세지를 뜨게 합니다.

다른 서식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숫자 제한하기

 

제한 방법 역시 범위에 해당되거나 제외하는 것을 포함하여 =, <>, >, <, >=, <=의 논리 연산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논리연산자와 논리함수들)

특정 숫자보다 크거나 작은 수를 제한하거나, 올해 이전의 날짜만 입력가능하게 합니다.

 

 

3. 설명 메시지 입력하기

 

지금 입력된 데이터가 제한조건을 알 수 있게 되면 편리합니다.

제한 조건이 어긋났을 때 뜨는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비어있습니다.

 

설명 메시지 출력하기

 

4. 오류 메시지 변경하기

 

기본적으로는 값이 다르면 "이 값은 이 셀에 정의된 데이터 유효성 검사 제한에 부합하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그리고는 값이 입력되지 않고 새로 입력하는 "중지"기능이 실행됩니다.

값이 잘못된 경우에 동작하는 오류 메시지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스타일은 사용자가 잘못된 데이터를 입력하면 그 후 어떻게 할지 결정하게 합니다.

오류 메시지는 표시할지는 별도로 선택가능합니다.

일단 표시하는 것으로 보고 작성했습니다.

 

  • 중지 : 데이터가 잘못 입력되어을 때 메시지를 출력하고 다시입력하게 합니다.
    입력을 원하지 않으면 ESC눌러 입력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 경고 : 데이터가 잘못 입력되어을 때 메시지를 출력하지만 값을 그대로 입력할지 변경할지 선택하게 합니다.

  • 정보 : 데이터가 잘못 입력되어을 때 메시지를 출력하지만 값을 그대로 입력합니다.

 

 

5. 잘못된 데이터 보기

 

데이터 유효성 검사가 여러개 들어가 있는 경우, 잘못된 값이 입력된 경우를 한번에 볼 수 있습니다.

[매뉴] - [데이터] - [데이터 유효성 검사] - [잘못된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이렇게 하면 워크시트 내의 데이터 유효성에 어긋난 값을 표시합니다.

이 마킹은 작업을 한 후에 "유효성 표시 지우기"를 통하여 지울 수 있습니다.

 

잘못된 데이터 보기

 


유효성 검사 기능을 잘 보셨나요. 이 기능은 버릴게 없습니다.

엑셀 파일의 오류를 줄이고 작업이 편리하게 하는 기능으로 엑셀 사용자라면 꼭 한번 공부하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728x90
목차

1.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

2. 인쇄 영역 변경하기(수동)

3. 페이지 나누어 미리보기 : 영역 변경하기

4. 페이지 설정 : 한장에 인쇄하기

 

엑셀의 화면에서는 인쇄되는 정보가 보이지 않습니다.

인쇄 매뉴에서 미리 보기를 할 수도 있지만 작업을 하고 미리보기를 반복하는 것은 귀찮은 일입니다.

바로 확인하면서 작업 할 수 있는 페이지 나누어 미리보기 기능을 살펴 보겠습니다.

 

 

 

1.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

 

엑셀 상단의 [매뉴] - [보기] -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를 이용하면 인쇄영역을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성화 시키면 인쇄될 영역이 보이게 됩니다.

파란 점선은 페이지 구별선이고 파란 굵은 실선 안쪽은 "인쇄 영역",

회색으로 되어 있는 영역은 "인쇄가 안되는 영역"입니다.

 

인쇄영역 구별하기

 

 

2. 인쇄 영역 변경하기(수동)

 

파란 실선은 둘 다 마우스로 클릭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점선을 움직이면 한페이지에 출력되는 크기가 실선을 움직이면 인쇄되는 영역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데이터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이 영역이 변하지만 사용자가 한번 선택하면 다시 움직이지 않습니다.

 

 

 

3.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 : 영역 변경하기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를 활성화 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키를 누르면 페이지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보입니다.

이 기능으로 인쇄영역을 쉽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제어 기능

 

① 페이지 나누기 삽입

 

셀을 선택하고 "페이지 나누기 삽입"을 선택하면 그 기준으로 페이지 구분 선이 생깁니다.

셀의 윗쪽과 왼쪽에 선을 만듭니다.

 

 

② 페이지 나누기 모두 원래대로

 

페이지 나누기 삽입을 취소하고 페이지 나누기를 모두 원래대로 합니다.

재설정 한다고 봐도 됩니다. 

 

 

③ 인쇄 영역 설정

 

범위를 선택하고, 그 부분만 인쇄 되도록 합니다.

 

④ 인쇄영역 다시 설정

 

모든 페이지 나누어 미리보기 작업을 취소하고 인쇄영역을 재설정합니다.

 

 

4. 페이지 설정 : 한장에 인쇄하기

 

한장에 인쇄하고 싶으면 "페이지 나누어 미리보기"에서 파란 선을 최외각까지 다 밀면 한장에 인쇄상태가 됩니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 가독성등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페이지 설정을 사용해야 합니다.

 

한장이 되도록 오른쪽으로 다 밀었습니다

 

① 페이지 설정 실행하기

페이지 설정 들어가는 법

 

② 페이지 설정 확인하기

 

인쇄 미리 보기를 설정하겠습니다.

보면 엉망이 되어있습니다. 가독성 난이도가 최상급이네요.

이대로를 출력하나 마나일 것 같습니다.

 

페이지 설정 : 가독성 0입니다.

 

③ 페이지 설정 변경하기

 

페이지 설정을 가로로 바꾸고 배율을 조금 조정 했습니다.

조금은 나아지네요. 여백을 만지고 하면 더 나아질 것 같습니다.

하지만 기능을 확인하는 블로그임으로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페이지 설정을 통해 조정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