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파워포인트를 만들다보면 준비해준 자료 화면을 Print Screenshot 키를 이용하여 편집할 때가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파워포인트에서 쉬운 편집 기능을 지원합니다.

먼저 지금 제가 작업하고 있는 화면을 스크린 샷해보겠습니다.

 

창이 많습니다.

 

최소화 되어 있기는 하지만, 파워 포인트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

키보드의 Print Screen 키를 이용해서 캡쳐를 했습니다. 이때 듀얼 모니터에 뜬 화면이 전부 클립보드에 저장됩니다.

필요한 부분을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편집해야 합니다.

 

파워포인트

 

320x100

 

 

1. 스크린 샷

 

하지만 파워포인트는 스크린 샷을 감지하면 정리를 이미 해 두었습니다.

파워포인트의 화면을 활성화해서 [상단 매뉴] - [삽입] - [스크린 샷]을 눌러 목록을 봅니다.

 

 

 

정리가 된 것이 보이시나요?

맨 처음 두개는 모니터별로 정리하고 프로그램 단일 창별로 캡쳐를 했습니다.

원하는 화면을 클릭하면 가져옵니다. 원래 화면에서는 잘 보이지 않던 매모장을 알아서 캡쳐합니다.

그럼 오른쪽으로 "디자이너" 기능으로 편집 방안을 제안합니다.

저도 이건 거의 안쓰지만 가끔 쓸만하기도 합니다.

 

캡쳐 화면 사용하기

 

 

 

2. 화면 캡쳐

 

파워포인트 상에서 자체적으로 화면 캡쳐 기능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상단 매뉴] - [삽입] - [스크린 샷] 기능에 아래 아이콘같이 생긴 화면 캡쳐 버튼이 있습니다.

 

화면 캡쳐 기능

 

아래의 화면 캡처 기능을 클릭하면 파워포인트가 최소화되고 캡쳐할 화면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으로 캡쳐하면 바로 파워포인트로 불러오니 편리합니다.

 

 

반응형
728x90

오토캐드에는 진짜 많은 단축키가 있습니다.

또 단축키들은 줄임 표현이 있어서 사용을 편하게 합니다.

Line은 "L", Rotate는 "Ro"만 입력해도 되는 식이죠.

이 줄임 표현을 별칭이라고 합니다.

 

단축키 입력하기

 

320x100

 

 

1. 별칭 편집하기

 

대부분 오토캐드에서 지원하는 설정을 외워서 사용하지만, 자신이 직접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별칭 편집 기능은 [상단 매뉴] - [관리] - [별칭 편집]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바로 클릭하면 사용 가능합니다.

 

별칭 편집

 

 

2. 별칭편집(acadlt.pgp)를 편집하기

 

별칭 편집을 선택하면 파일을 엽니다.

일반적인 윈도우에서는 메모장으로 오픈하는데 오른쪽의 *표시 뒤가 원본입니다.

왼쪽의 단축키를 고쳐서 저장하면 작동합니다.

 

acadlt.pgp 파일 편집하기

 

하지만 기본적으로 메모장에서 편집하다보면 실수하기 쉽습니다.

"다른 이름으로 저장"해서 백업본을 만드는 것이 필수입니다.

 

다른이름으로 저장하기

 

 

 

3. 자동 수정 리스트 편집 / 동의어 리스트 편집

 

별칭말고도 자동 수정 리스트나 동의어도 편집이 가능합니다.

 

 

① 자동 수정 리스트

 

오타가 많이 나는 글자의 경우 미리 등록해서 고칠수 있습니다.

왼쪽처럼 오타를 내면 오른쪽 명령어(*이 있는 쪽)로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처음 기본적으로는 두개만 들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자주 틀리는게 있다면 등록해서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자동 수정 리스트

 

② 동의어 리스트 

 

같은 기능을 하는 다른 단축키를 만듭니다.

이 기능 같은 경우에 단축키를 하나더 등록하는 것이라서 제약사항이 있습니다.

파일을 열면 제약사항이 보입니다.

 

  • 동의어는 명령 하나만 나타난다.
  • 이미 정의된 별칭과 충돌하면 안된다.

 

동의어 리스트

반응형
728x90
목록

1. Shutdown 기능 사용하기

2. 스케줄러로 예약 종료 걸기

3. 바로가기 단축 아이콘 만들기

 

 

살다보면 작업이 끝나지 않았는데 약속장소로 가야 될 때가 있습니다.

작업이 5분 남았는데 약속장소로 이동을 해할 때 같을 때 말이죠

자동종료 명령어 사용법을 알아두면 이럴때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320x100

 

 

1. Shutdown 기능 사용하기

 

일단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부터 보겠습니다.

 

① 실행창을 연다.

 

검색해서 열어도 되고 Win키 + R 단축키를 사용해도 됩니다.

 

실행창 부르기

 

② 실행창에서 CMD를 누른다.

 

Command창을 부릅니다.

다만 실행창에서 바로 ③의 명령을 수행해도 됩니다.

 

Command

 

③ shutdown 명령어를 사용한다.

 

Shutdown : 컴퓨터를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아래 자주 쓰는 옵션을 소개합니다.

  • /s : 컴퓨터를 종료합니다.
  • /t : 시간을 초단위로 설정합니다. 따라서 60은 분, 3600은 시간이 됩니다.
  • /f : 컴퓨터를 종료할 때 경고하지 않고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 /fw : 다음 부팅할 때는 펌웨어 인터페이스로 사용합니다.
  • /r :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 /a : 예약종료를 취소합니다.

컴퓨터를 한시간 후에 종료합니다.

 

 

 

2. 스케줄러로 예약 종료 걸기

 

① 작업 스케줄러를 오픈한다.

 

검색에서 스케줄러로 검색하면 작업 스케줄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 후 오른쪽에 기본 작업 만들기로 작업을 만듭니다.

 

스케줄러 오픈하기

 

② 작업을 만듭니다.

 

작업 만들기 마법사

 

③ 트리거를 설정한다.

 

작업 트리거를 설정합니다.

메일로 설정하면 시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작업 트리거 설정

 

④ shutdown을 입력한다.

 

실행시킬 스크립트를 shutdown이라고 입력하고 인수를 입력합니다.

/s /f /t 10로 하면 10초 뒤 종료로 실행합니다.

 

 

⑤ 예약종료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스케줄 리스트에 예약종료가 입력되어 있습니다.

 

입력하기

 

 

3. 바로가기 단축 아이콘 만들기

 

① 바로가기 바로 만드릭 활성화 하기

 

바로가기를 만들기를 알아보겠습니다.

바탕화면에 오른쪽 클릭하면 "새로 만들기" - "바로가기"에서 바로가기를 만들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만들기

 

② 항목에 shutdown을 입력합니다.

 

인수와 함께 입력합니다

 

③ 아이콘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바로가기

 

 

반응형
728x90

아웃룩은 메일 서버에서 컴퓨터로 메일을 자동을 당겨오는 기능이 있습니다.

대량의 메일을 장기간 보관하려면 서버에 두는 것 보다는 물리적인 디스크로 백업하는게 사고가 적죠.

서버에 있는 메일을 수동으로 지워주려면 번거로우니 지울 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메일은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320x100

 

 

① 계정 설정창 열기

 

매뉴가 좀 특이한 곳에 있습니다.

상단의 [파일] - [계정 설정] - [계정 설정]의 경로로 들어가 선택합니다.

계정과 연결하는 매뉴가 열립니다.

 

계정 설정

 

 

② 계정 변경으로 들어갑니다.

 

계정 설정창이 열렸습니다.

연결된 이메일 주소를 클릭하고 변경을 누릅니다.

 

계정설정창

 

 

③ 계정변경에서 기타 설정으로 들어가기

 

계정 변경창에는 메일에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

여기에 하단의 기타 설정 매뉴가 있습니다. 이걸 클릭합니다.

 

계정 변경 창

 

 

④ 인터넷 전자 메일 설정

 

인터넷 전자 메일 설정창이 열렸습니다.

여기서 고급 탭으로 들어가면 배달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서버에 메시지 복사본 저장을 체크 해제하면 아웃룩이 받아오는 즉시 메일을 지웁니다.

기간을 선택하면 설정된 기간에 맞추어 서버에서 제거하게 됩니다.

 

인터넷 전자 메일 설정

 

저는 10~30일 정도를 선택합니다.

업무용으로 쓰는 메일은 이래도 용량이 부족할 때가 있어 따로 수동으로 지우기도 합니다.

 

 

반응형
728x90
목차

1. Trim(자르기) 사용하기

2. Trim(자르기)의 옵션

3. Trim이 안될때 고도 혹은 Z 축을 확인하세요

 

오토캐드로 도면을 그릴 때 처음부터 계산에서 뚝딱 그리지는 않습니다.

모양과 모양이 어떻게 조합하다 보면 자주 선이 삐져 나오기 쉽습니다.

그 선을 처리해주는 Trim 명령어는 오토캐드의 많은 기능 중에서도 유용성이 높은 기능에 속합니다.

 

320x100

 

 

1. Trim(자르기) 사용하기

 

사용할 때는 [홈] → [수정 매뉴] → [자르기]를 선택하거나 "Trim" 명령어를 타이핑합니다.

 

trim 사용하기

 

trim의 기능은 삐져나온 선을 지우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어떤 선을 기준으로 해야 하는 지 꼭 지정해야 했지만 지금은 자동모드가 기본입니다.

 

trim 사용하기

 

Trim은 최근 버전에서는 기본적으로 "빠른 모드"로 되어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모드(o)를 선택하면 "표준 모드"를 사용하면 옵션을 전부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모드의 선택

 

 

 

2. Trim(자르기)의 옵션

 

① 걸치기(C) : 삐져나온 선을 자르는 기본 모드입니다. 맨 처음 활성화 시키면 이것부터 만들어 집니다.

 

② 절단 모서리(T) : 절단모서리는 선을 선택해서 자르는데 연장선을 적용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개체를 선택을 해야 합니다. 하나의 개체를 선택하고 enter를 치면 자를 선을 선택하는데 선택된 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절단모서리

 

 - 절단 모서리는 모서리 연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했을 때 선을 연장해서 자르기를 적용합니다.

아래 왼쪽 하단의 파란 선을 연장해서 원을 자르게 됩니다.

 

모서리 연장하기

 

③ 울라리 : 자르는 개체를 마우스를 드레그해서 선으로 만듭니다.

빠른 모드에서는 클릭 앤 드레그 하면 자동으로 울타리로 전환됩니다.

 

울타리 기능

 

④ 지우기 : Trim(자르기)가 아니라 그냥 개체 자체를 지워 버립니다.

 

지우기 기능

 

⑤ 프로젝트 : 3차원 개체에서 오브젝트를 투영해서 짜릅니다.

 

 

3. Trim이 안될때 고도 혹은 Z 축을 확인하세요

 

오토캐드에서는 "고도" 혹은 "Z축"으로 높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3D 개체의 경우 Trim이 작동 안 합니다. 

프로젝트 기능으로 할 수는 있지만 축에 연장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원래 2D 도면에 예기치 않게 들어있다면 통일해서 작업해야 하고요.

 

고도 확인하기

 

 

반응형
728x90

가장 익숙한 모양 중에 하나는 원입니다.

원은 한 점에서 선을 한번 회전시켜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이라고 합니다.

 

원의 정의

 

이렇게 동그란 원은 면적 대비 둘레가 작고 같은 힘을 가진 파동이 퍼져나가는 모양입니다.

외부로부터 스트레스와 내부로 부터 힘을 받을 때 가장 자연스러운 형태입니다.

그리고 디자인적으로도 보기가 좋기 때문에 많이 사용을 합니다.

 

외부 / 내부로 부터의 힘

 

지구도 돌고 있고 모터를 만들때도 회전이 가장 자연스러운 움직임이라서 기계 가공의 기초는 회전축이죠.

회전축으로 만드는 기본 형태는 원입니다. 그런만큼 자재들이 원기둥 형태인 것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들어진 원형의 제품을 평가하는 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320x100

 

 

1. 진원도

 

그런데 뭐든 실제로 만들어보면 맘같지가 않습니다.

얼마나 진짜 원 같은지를 보는 진원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아래 예시 도형은 극단적으로 아예 타워을 만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① 측정한 형상에서 중심을 지나는 가장 짧은 선을 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립니다.

② 측정한 형상에서 중심을 지나는 가장 긴 선을 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립니다.

③ 이 두 원의 차이가 바로 진원도 입니다.

 

진원도의 스펙은 형상 가공을 할때 타원지지말고 원형에 가깝게 만들어 달라는 정도를 숫자로 나타낸 것입니다.

0.2 ㎜ 라면 큰원과 작은원의 차이가 0.2 ㎜ 이하로 발생해야 합니다.

 

진원도의 개념

 

 

2. 형상정밀도(PV)

 

형상정밀도는 진원도보다 조금 더 정밀한 개념입니다.

아래 그림의 검은 모양은 만들어진 도형입니다.(혹은 측정된 데이터)

빨강 선은 이 검은 도형과 가장 가까운 이론상의 원입니다.

이 차이를 구하는 것이 형상 정밀도라고 합니다.

가장 바깥쪽으로 나온 곳을 Peak, 안쪽으로 들어간 곳과 Valley입니다.

Peak는 양수 Valley는 음수임으로 Peak - Valley가 가장 큰 형상차이가 됩니다.

이것을 PV(Peak & Valley) 라고 합니다.

 

형상정밀도

 

형상정밀도를 측정할 때는 광학식 평가기나, 접촉식 프로파일러 같은 장비를 사용해서 모든 포인트를 찍습니다.

가능한 많은 데이터를 모아서 모양을 분석하기 때문에 고정밀 부품이 아니라면 측정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규격 자체가 상당히 정밀한 수치로 단위가 ㎛ 혹은 ㎚인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
728x90

1. 증상 - 쓰기 방지

 

처음에는 외장하드 케이블이 반쯤 연결되어 있어 잡히지 않고 있었는데 모르고 몇일동안 두었습니다.

없어진 것은 알고 다시 연결했었는데, 파일이름이 안바뀌더라고요.

"폴더 속성"에 들어가보면 이런 메세지가 뜹니다.

 

이걸 변경해 봐도 안됩니다.

 

 

2. 증상 - 드라이브 오류검사 먹통

 

거기다 "드라이브 오류검사 - chkdsk"도 먹통입니다.

우선 다행히 백업이 되길래 백업부터 했습니다.

 

이거 뜨는 순간 잠시 맨붕이 왔습니다.

 

320x100

 

 

3. 해결방법

 

그런 후 검색과 이것저것 해보고, 해결을 했는데 그 방법을 소개합니다.

순서대로 해보시고 같은 문제가 있는 분이 해결되기를 바랍니다.

 

① 문제되는 디스크가 어떤 것인지 확인하기

 

우선 디스크 번호를 알아야 합니다.

Window 키를 오른쪽 클릭하면 "디스크 관리"로 갈수 있습니다.

문제가 되는 디스크를 클릭하면 아래쪽 창에서 디스크 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

저는 문제가 되는 디스크 번호가 4번이네요.

 

디스크 번호 4번 확인

 

 

② COMMAND 창열기

 

Window 키 + R → CMD를 입력하여 실행창을 부릅니다..

그럼 명령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게 됩니다.

 

실행창 열기

 

 

③ DISKPART 입력하기

 

CMD 창에서 "DISKPART"라고 입력합니다.

새로운 창이 뜰 수도 있지만, 버전에 따라 그냥 CMD 창에서 이어서 작업 할 수도 있습니다.

이 DISKPART에서는 디스크에 필요한 각종 명령을 할 수 있습니다.

 

DISKPART

 

 

④ 디스크를 선택하고 읽기 전용 설정을 지웁니다.

 

이미 디스크 4번을 확인했으니 아래의 "list disk"는 안해도 됩니다.

"sel disk4"로 디스크를 선택합니다.

"attributes disk clear readonly" 읽기 전용을 지우라는 명령을 입렵하면됩니다.

성공적으로 "디스크 특성을 지웠습니다."라는 메세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명령을 입력합니다.

 

 

⑤ 이제 디스크를 사용합니다.

 

저는 우선 디스크 체크부터 진행했습니다.

백업을 했으니까요. 이때 외장하드에서 끼긱하는 금속음이 들리면 곧 죽는다 보셔야 됩니다.

아니더라도 안심은 못합니다. 그래도 일단 사용을 하고는 있습니다.

 

오류검사

 

 

 

 

반응형
728x90
320x100

 

오토캐드를 하다보면 세세한 걸 그리면서 비교하고도 싶고, 또 큰 도면의 여러부분을 봐야합니다.
수치 시물레이션을 하다보면 원본을 왼쪽에 띄우고 오른쪽에 작업중인 창을 띄우기도 하죠.
물론 파일을 두개 만들어서 띄우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두개 파일은 나름 단점도 많죠.
우선 두개를 따로 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요.

 

파일 두개를 따로 열어서 창 두개로로 보기

 

① 뷰포트 기능 사용하기

 

그럼 두개의 창을 여는 뷰포트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상단매뉴] - [뷰] - [뷰포트구성]을 클릭합니다.
뷰포트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들이 보입니다. 예시를 작성하는 제 모니터는 작으니,
수직으로 두개의 포트만 설정하도록 합니다.

 

뷰포트 기능

 

이제 뷰포트가 나누어 졌습니다.
수직으로 경계선이 생기고 좌우로 창이 나누어 집니다.
만지고 싶은 뷰를 마우스 왼쪽 클릭하면 조작 할 수 있습니다.
또 중간에 경계 막대기를 움직여서 영역을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보기가 나누어진 창입니다.

 

② 뷰포트 해제하기

 

뷰포트를 해제 하시려면 다시 [상단매뉴] - [뷰] - [뷰포트구성]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난 후 맨위의 "단일"을 선택하시면 해제가 됩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선택한 창이 커지면서 단일창의 중심이 됩니다.
이 방법을 잘 이용하면 편하게 작업할 수도 있습니다.

 

뷰포트 해제하는 방법

 

③ 명령어로 뷰포트 사용하기

 

명령어 "VPORTS"를 직접 입력하여 뷰포트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명령어 창에 입력하면 뷰포트 설정 매뉴가 출력됩니다.

 

명령어


이 창에서도 매뉴에서 선택한 것과 비슷하게 출력 할 수 있습니다.

미리 보기 창에서 설정할 내용을 선택하고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3D도 보는 기능이 있고, 또 한번 설정한 구성을 저장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뷰포트 설정 매뉴

 

 

반응형
728x90

템플릿을 만들거나 디자인을 만드는데 특화된 파워포인트입니다.

그래도 "서식만 붙여넣기"는 간단하지만 필요한 기능입니다.

가볍게 소개해 보겠습니다.

 

단축키 하나만 외우면 됩니다.

 

  • Ctrl + Shift + C : 서식만 복사하기
  • Ctrl + Shift + V : 서식만 붙여넣기

 

아래 예시를 보겠습니다.

먼저 복사할 상자를 전체 선택하고 Ctrl + Shift + C를 누릅니다.

그런 후 붙여 넣을 상자에 선택하고 Ctrl + Shift + V를 선택하면 상자의 글 내용은 그대로고 서식만 적용됩니다.

글상자 전체 서식 복사 후 붙여넣기

 

이번에는 글자만 적용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적용방법은 똑같이 글자만 선택하고 Ctrl + Shift + C를 누릅니다.

그리고 적용할 글자에 Ctrl + Shift + V로 서식만 붙여넣습니다.

 

글자만 서식 복사 후 붙여 넣기

 

 

 

반응형
728x90

파워포인트에서는 도형을 그릴 수 있는데 여기에는 색을 넣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색과 투명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최신버전인 오피스 356에서는 그림에도 투명도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구버전에는 조금 절차가 복잡합니다. 두가지 방법을 소개 하겠습니다.

※ 그림은 AutoDraw 사이트에서 사용했습니다.

 

 

320x100

 

 

1. 이전 버전에서 그림에 투명도 적용하기

 

먼저 그림이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어 있어야 합니다.

 

① 그런 상태에서 사각형 도형을 하나 그려서 오른쪽 키를 클릭합니다.

"도형 서식"을 불러옵니다.

 

사각형에 도형서식 들어가기

 

② 그림 서식 창이 열립니다.

"그림 또는 질감 채우기"에서 "삽입"을 선택하면 그림 파일을 불러올 수 있는 매뉴를 설정합니다.

 

그림 서식

 

 

③ 그림을 선택해서 불러옵니다.

그럼 파워포인트 내에서 그린 그림에 그림파일이 배경으로 삽입됩니다.

이때 크기가 제멋대로 선택됨으로 보기 싫을수도 있습니다.

 

그림 안에 그림 파일

 

 

④ 이 상태에서 투명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림서시그이 채우기에 투명도가 활성화 되어있고 여기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투명도 50%를 입력하겠습니다.

 

이 도형에 투명도가 입력됩니다

 

 

⑤ 그림에 투명도가 적용된 영상입니다.

시계 그림에 투명도가 적용되어 뒤에 있는 그림과 겹쳐보입니다.

 

시계의 투명이 적용되었습니다

 

 

2. 최신버전에서 투명도 적용하기

 

이 경우는 보다 간단합니다.

그림에 오른쪽 키를 설정해서 그림서식으로 들어가면 투명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서식 매뉴의 그림 아이콘에 그림 투명도 매뉴가 있는 것을 바로 확인하실 수 있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최신버전에서 적용하기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