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요즘에는 NAS 서버등 좋은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필요한 장비, 인프라가 없는 상황이라 집에서는 편하게 사용하려고 오랜만에 FTP를 이용해 보았습니다.

어떻게 만드는지 모르는 것도 있고요.

Windows 10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FTP(File Transfer Protocol)의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① 제어판을 열어서 프로그램 및 기능을 찾습니다.

 

Windows 기본 검색기능을 이용해서 제어판을 찾아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프로그램 및 기능을 찾습니다.

Windows에서는 이것 말고도 여러가지 루트가 있지만 이 방법이 젤 만만합니다.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및 기능

 

 

 

 

② Windows 기능에 들어갑니다.

 

프로그램 및 기능의 좌측 매뉴에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를 클릭합니다.

여기에서는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서 두 가지 기능을 찾아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인터넷 정보 서비스] - [FTP 서버] - [FTP 서비스][인터넷 정보 서비스] - [웹 관리 도구] - [IIS 관리 콘솔]입니다.

확인을 누르면 뭔가 설치를 합니다. 여기까지 하면 FTP를 사용할 준비가 됩니다.

 

Windows 기능 켜기/끄기

 

 

 

 

③ IIS 관리자를 찾습니다.

 

제어판으로 돌아가보면 "관리 도구"라는 매뉴가 있습니다.

이 곳에 들어가면 보면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 관리자"라는 매뉴가 활성화 되어있습니다.

방금 활성화 시킨 건데 재부팅 할 필요없이 바로 있을 것입니다.

 

ISS 인터넷 정보 서비스 찾기

 

 

 

 

④ FTP 사이트의 설정을 시작합니다.

 

IIS 관리자 매뉴에 들어가면 좌측 상단에 컴퓨터 정보가 있습니다.

사이트를 열어서 오른쪽 클릭하면 "FTP 사이트 추가"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이제 FTP에 기본 내용을 설정하고 만드는 작업을 합니다.

 

FTP를 만들기

 

 

 

 

⑤ 바인딩 및 SSL 설정과 인증 및 권한 부여 정보를 합니다.

 

포트는 기본 설정 그대로 21로 그리고 "자동으로 FTP 사이트 시작"은 꺼두었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사용자와 권한 설정을 했습니다.

파일이 왔다갔다 할 예정임으로 읽기와 쓰기 모드 권한이 필요했습니다.

사용자도 "지정한 사용자"만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자신에게 맞게 설정합니다.

이 부분은 추후에 다시 설정이 가능합니다.

 

 

 

 

⑥ 아직 끝이 아닙니다. FTP가 시작된 것을 확인합시다.

 

FTP는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 끝이 아닙니다.

IIS에서 FTP가 잘 동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군요.

 

FTP가 만들어졌고 시작되었습니다.

 

 

 

 

⑦ FTP를 사용할 사용자를 하나 만듭니다.

 

이번에는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로 이동하여

[왼쪽 매뉴] - [로컬 사용자 그룹] - [사용자]을 선택해서 빈 공간에 "오른쪽 클릭" - "새 사용자"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TOAST라는 새 사용자를 만들겠습니다.

어차피 혼자 쓸 생각이라서 하나면 충분합니다.

 

사용자를 만듭니다.

 

 

 

 

⑧ 방화벽 설정을 합니다.

 

방화벽에서 FTP의 규칙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다시 [제어판] - [Windows Defender 방화벽] - [고급 설정]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FTP관련 매뉴가 3가지 있는데 동시에 선택하고 오른쪽 클릭해서 "규칙 사용"을 활성화합니다.

 

방화벽 설정하기

 

 

 

 

⑨ FTP 재실행하기

 

방금 들어갔던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 에 다시 들어갑니다.

왼쪽을 보면 "서비스"가 있는데 이 곳에서 "Microsoft FTP Service"를 다시 찾을 수 있습니다.

이걸 오른 쪽 클릭하고 "다시 시작"합니다.

참고로 언제든지 이 곳에서 FTP를 수동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서비스에서 FTP 재부팅하기

 

 

 

 

⑩ FTP에 접속하기

 

동일 네트워크상에 있는 다른 컴퓨터에서 쉽게 FTP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인터넷 브라우져나 윈도우 탐색기에서 FTP://"IP 주소"를 누르면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제 기본적인 FTP의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이제 사용자의 이름과 PW를 입력하고 사용합니다.

 

과정이 길었습니다. 하지만 서버하나 만드는데 이 정도면 굉장히 심플하다고 해야 합니다.

컴퓨터간에 파일을 옮기는 것이 별거 아닌 시대입니다.

그래도 양이 많거나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에는 서버만큼 좋은 일이 없습니다.


 

FTP는 이미 오래된 방식의 서버라서 보안이 취약하다고 합니다.

항상 켜두면 알수없는 대상에게 파일이 공격받을 수 있다고 하니 필요할 때만 켜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꼴에 서버라서 설정해야 할 것이 몇가지 더 있기는 합니다.

그건 다음 기회에 소개드리도록 하고 오늘은 여기 FTP를 오픈하는 과정까지만 진행했습니다.

 

 

반응형
728x90

그래픽 카드의 성능이 발전하고 상대적으로 모니터가 저렴한 가격에 나와서 가정에서도 2대를 많이 사용합니다.

거의 모든 그래픽 카드와 메인보드가 2개 이상의 모니터 연결 단자를 지원입니다.

Windows 10에서는 패널의 연결 단자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설정을 시작합니다.

자동설정이 맘에 들지 않을 수도 있고, 그저 변경하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320x100

 

 

1. 디스플레이 설정하기

 

디스플레이 매뉴로 들어가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됩니다.

혹은 Windows 설정 - 시스템으로 들어가면 가장 먼저 디스플레이 설정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설정

 

 

2. 여러 디스플레이 설정하기와 단축키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휠을 내려서 아래에 있는 매뉴를 확인합니다.

여러 디스플레이에서 모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 복제 : 같은 화면을 두개 편집합니다.
  • 디스플레이 확장 : 모니터들에게 각각 다른 화면을 출력합니다.
  • 1에만 표시 : 1번 모니터만 출력하고 나머지는 꺼집니다.
  • 2에만 표시 : 2번 모니터만 출력하고 나머지는 꺼집니다.

 

디스플레이 모드 변경하기

 

이 기능은 단축키가 가능합니다.

Windows 키 + P를 누르면 화면 오른쪽에 아래 그림같은 창이 뜹니다.

이걸 이용하면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리를 자주 옮기면서 사용하는 노트북 사용자 같은 경우에 좋습니다.

 

프로젝트 창

 

 

3. 디스플레이 확장시 모니터 설정하고, 주 모니터 만들기

 

기능중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건 역시 확장입니다.

먼저 설정할 디스플레이를 선택 마우스로 클릭해서 설정합니다. 선택하면 파란색으로 표시 됩니다.

드레그 해서 움직이면 오른쪽 왼쪽 혹은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마우스가 넘어가는 것을 조정하는데 물리적인 모니터 구성과 똑같이 하면 편리합니다.

 

1번 디스플레이를 선택했습니다.

 

이렇게 선택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설정을 변경하면 그 모니터의 설정이 변경됩니다.

그리고 바탕화면 아이콘이 우선 배치되는 "주 모니터로 만들기"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설정

 

 

 

 

반응형
728x90

 

 

동영상을 편집하는 방법을 정식으로 배운적은 없지만 필요할 때마다 무작정 하나씩 배우고 있습니다.

유료프로그램을 한달정도 써봤는데 배우기 위해서는 프리웨어를 써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너무너무 초보적인 기능이지만 윈도우10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는 "사진"앱을 소개합니다.

위치는 window 매뉴에 있습니다.

 

 

< 추가 내용 : 레거시 >

갑자기 사진 어플이 업데이트되어 사진 레거시 앱을 받아야 합니다.

지금 사진 앱을 열고 설정에서 사진 레거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혹은 Microsoft Store에서 직접 검색해 찾아도 됩니다.

 

사진 레거시를 다운 받습니다

 

 

 

1. 실행하는 법

 

시작에 사진이 있습니다.

 

이름은 사진 레거시

 

그러나 비디오 편집기를 가지고 있죠.

 

 

 

2. 새 비디오 프로젝트를 클릭하여 이름을 입력하고 창을 엽니다.

 

 

 

 

 

3. 파일을 추가합니다.

 

이때 임시공간에 파일을 복사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또 용량을 사용하여 많은 수의 동영상 작업을 할 때는 여유공간을 생각해야 합니다.

(원본 저장) + (임시본저장) + (완성본 저장)

같은 영상을 동시에 여러개의 프로젝트에서 편집할때는 "컬렉션에서"를 선택하면 용량과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추가하기

 

 

 

 

4. 끌어진 동영상을 스토리 보드에 올려놓으면 편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도 끌어다 놓을 수 있고 여러개의 영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보드에 편집된 내용을 이후 완료시 한번에 출력하는 것이 이 사진앱의 주요 기능입니다.

 

스토리 보드 사진
스토리 보드

 

 

 

 

5. 표지사용하기(시간)

 

표지나 썸네일로 사용할 수 있는 그림을 스토리보드에 올려둘 수 있습니다.

그림을 사용할 때는 "시간" / "텍스트" / "동작" / "3D 효과" / 필터가 있습니다.

시간은 그림을 뛰울 시간으로 적당한 시간을 띄우면 됩니다만 개인의견으로는 5초가 맥스인 것 같습니다.

 

 

 

 

 

6. 표지사용하기(텍스트)

 

간단한 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자막처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인터페이스가 편하지는 않으니 많은 양의 텍스트를 입력하면 좀 노가다가 되겠네요

자유도도 높지않고 디자인 적으로도 딱히 엄청 좋다고 여겨지는 것은 없습니다.

텍스트가 출력이 시작되고 끝나는 것 내용, 스타일, 레이아웃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중요한 것이죠.

 

텍스트 추가
텍스트 입력

 

 

 

 

7. 표지사용하기(동작)

 

그림이 글자와 함께 그냥 떠있으면 너무 지겨워 보일 수 있죠.

동작에서는 라이트하지만 움직임을 담아 약간이지만 재미있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림이 왼쪽 오른쪽으로 움직이거나 서서히 멀어지거나 가까위지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하단에 있는 재생버튼으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8. 표지 사용 하기(3D효과)

 

이건 조금 멋있는 기능입니다.

단순하지만 멋있는 라이브러리상의 3D 개체를 위에 덮어 쓰는 것입니다.

잘 사용하면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많아집니다.

 

 

 

 

 

9. 표지 사용하기 (필터)

 

요즘 유료 프로그램은 엄청날 정도로 필터를 제공하죠.

그거랑 비교하면 아쉬울 수 있지만 이놈은 기본 탑제 프로그램이니 비난하지는 맙시다.

심플한 필터를 제공합니다. 단순한 그림일때는 충분한 레벨입니다.

 

표지 같이 만들기

 

 

320x100

 

 

 

 

10. 완성본 보기

 

이러고 바깥으로 나오면 영상 재생버튼을 통해 어떻게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리웨어를 사용하는 간단한 기능임에도 이정도면 나쁘지 않네요.

원본 일러스트가 좋아서 그럴수도 있겠군요.

 

플레이 영상

 

윈도우10이 대중화된 지금은 사실상 무료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인 사진앱과 그 표지프로그램 기능이였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