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진어플에 대한 실행법과 표지만드는 법은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했습니다.

거의 비슷한 요령이기는 하지만 영상 편집도 소개하겠습니다.

https://toast-story.tistory.com/11

 

윈도우10 기본앱 사진으로 간단한 동영상 표지 만들기(무료 영상편집 프로그램)

동영상을 편집하는 방법을 정식으로 배운적은 없지만 필요할 때마다 무작정 하나씩 배우고 있습니다. 유료프로그램을 한달정도 써봤는데 배우기 위해서는 프리웨어를 써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

toast-story.tistory.com

 

 

 

< 추가 내용 : 레거시 어플 >

 

갑자기 사진 어플이 업데이트되어 사진 레거시 앱을 받아야 합니다.

지금 사진 앱을 열고 설정에서 사진 레거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혹은 Microsoft Store에서 직접 검색해 찾아도 됩니다.

 

레거시 추가하기

 


 

프로그램이 무료인 만큼 동영상을 편집하는 기능들은 많지는 않습니다. 하나씩 소개하겠습니다.

기본인 순서는 영상을 ① 라이브러리에서 ② 스토리보드로 불러와 ③ 체크박스로 편집할 구간을 선택하고,

④ 편집매뉴에서 편집하고 ⑤ 미리보기에서 결과를 확인합니다.

인터페이스는 처음에는 어색했지만 적응되면 편리한 디자인입니다.

 

편집

 

 

 

 

1. 짜르기 : 영상에서 원본일부만 추출합니다.

 

하일라이트나 인상적인 장면을 영상에서 추출합니다.

재생바에서 시작과 끝 영역을 선택합니다.

키보드의 ←→를 움직여 재생구간표시막대를 움직일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창에 이 위치의 영상이 출력됩니다.

 

아래의 재생바를 움직여야 합니다.

 

스토리 보드상에서는 짤라 나머지영역은 지워지지만 라이브러리에서 원본을 다시 끌어서 편집할 수 있습니다.

한 영상에서 여러구간을 추출하여 재생하도록 편집이가능합니다.

 

한 동영상에서 여러개의 스토리 보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2. 분할 : 영상을 두 조각 냅니다.

 

가장 많이 쓰는 기능입니다. 영상을 재생구간 표시막대 앞뒤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재생구간은 의도한건지 모르는 정밀 조정 기능이 있습니다.

재생바를 클릭한 후에 키보드의 ←→로 움직이면 막대가 앞뒤로 움직입니다.

이 상태에서 영상을 클릭하고 나서 ←→를 움직이면 더 정밀하기 움직입니다.

원하는 구간의 아주 작은 단위로 편집가능해서 자연스럽게 영상을 수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영상을 두개로 쪼갤 수 있습니다.

나눈 영상도 다시 분할 할 수 있어 여러번 반복하면 보여주고 싶은 장면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영상하나가 2개로 쪼개집니다.

 

 

320x100

 

 

 

3. 텍스트 : 동영상에 문자효과를 추가합니다.

 

몇가지 기본 문자효과가 있는데 이걸 영상에 특정 위치에서 동작 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는 한 구간에 한번씩만 넣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분할을 이용해서 영상을 여러개로 쪼개면 여러가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절차가 까다로움으로 대사자막을 사용하는건 어렵고 가벼운 설명이나 강조 효과로 쓰면 유용합니다.

 

 

 

 

 

4. 동작 : 영상을 전체적으로 움직입니다.

 

움직이는 동작을 설정하는데 움직이기 위해 사이드의 일부영역을 짜르게 됩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출력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없고 구간 전체걸쳐서 천천히 움직입니다.

따라서 10~20초 이하로 잘게 쪼갠 영상에서 적용하는게 좋습니다.

 

 

 

 

 

5. 3D 효과 : 기본 앱에서 제공하는 3D 오브젝트를 추가합니다.

 

3D 오브젝트는 효과음도 가지고 있는 볼륨을 조절하거나 끌 수 있습니다. 

한 구간에 하나의 효과만 가능하고 여러개 사용하려면 구간을 쪼개야 합니다.

여러개를 집어넣으려면 좀 복잡해 집니다.

 

 

 

 

 

6. 필터 : 영상에 색상필터를 골라서 적용합니다.

 

요즘 유료프로그램에서 좋은 필터가 많습니다.

거기에 비하면 많이 심심하지만 어쩔 수 없죠.

일단 몇가지 필터를 제공하고 한 구간에 하나씩 적용할 수 있으면 정도를 조절하거나 할 수는 없습니다.

 

조절하기

 

 

 

 

7. 속도 : 한구간의 속도를 조절합니다.

 

이 기능은 영상 구간으로 진입하지 않습니다.

최대 x64 배속 최저 0.02 배속까지 영상을 느리거나 빠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지겨운 구간을 빠져나가거나 일정 구간을 강조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스토리 보드

 

 

 

 

8. 비디오 저장하기

 

이제 만들어논 스토리 보드의 내용을 저장합니다.

우상단의 비디오 마침을 클릭하면 화질을 선택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최종 추출기능입니다.

 

사진기능의 편집기능을 알아보았습니다.

동영상이라서 용량을 많이 먹습니다. 항상 하드디스크의 남는 공간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입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