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동영상을 편집하는 방법을 정식으로 배운적은 없지만 필요할 때마다 무작정 하나씩 배우고 있습니다.

유료프로그램을 한달정도 써봤는데 배우기 위해서는 프리웨어를 써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너무너무 초보적인 기능이지만 윈도우10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는 "사진"앱을 소개합니다.

위치는 window 매뉴에 있습니다.

 

 

< 추가 내용 : 레거시 >

갑자기 사진 어플이 업데이트되어 사진 레거시 앱을 받아야 합니다.

지금 사진 앱을 열고 설정에서 사진 레거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혹은 Microsoft Store에서 직접 검색해 찾아도 됩니다.

 

사진 레거시를 다운 받습니다

 

 

 

1. 실행하는 법

 

시작에 사진이 있습니다.

 

이름은 사진 레거시

 

그러나 비디오 편집기를 가지고 있죠.

 

 

 

2. 새 비디오 프로젝트를 클릭하여 이름을 입력하고 창을 엽니다.

 

 

 

 

 

3. 파일을 추가합니다.

 

이때 임시공간에 파일을 복사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또 용량을 사용하여 많은 수의 동영상 작업을 할 때는 여유공간을 생각해야 합니다.

(원본 저장) + (임시본저장) + (완성본 저장)

같은 영상을 동시에 여러개의 프로젝트에서 편집할때는 "컬렉션에서"를 선택하면 용량과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추가하기

 

 

 

 

4. 끌어진 동영상을 스토리 보드에 올려놓으면 편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도 끌어다 놓을 수 있고 여러개의 영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보드에 편집된 내용을 이후 완료시 한번에 출력하는 것이 이 사진앱의 주요 기능입니다.

 

스토리 보드 사진
스토리 보드

 

 

 

 

5. 표지사용하기(시간)

 

표지나 썸네일로 사용할 수 있는 그림을 스토리보드에 올려둘 수 있습니다.

그림을 사용할 때는 "시간" / "텍스트" / "동작" / "3D 효과" / 필터가 있습니다.

시간은 그림을 뛰울 시간으로 적당한 시간을 띄우면 됩니다만 개인의견으로는 5초가 맥스인 것 같습니다.

 

 

 

 

 

6. 표지사용하기(텍스트)

 

간단한 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자막처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인터페이스가 편하지는 않으니 많은 양의 텍스트를 입력하면 좀 노가다가 되겠네요

자유도도 높지않고 디자인 적으로도 딱히 엄청 좋다고 여겨지는 것은 없습니다.

텍스트가 출력이 시작되고 끝나는 것 내용, 스타일, 레이아웃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중요한 것이죠.

 

텍스트 추가
텍스트 입력

 

 

 

 

7. 표지사용하기(동작)

 

그림이 글자와 함께 그냥 떠있으면 너무 지겨워 보일 수 있죠.

동작에서는 라이트하지만 움직임을 담아 약간이지만 재미있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림이 왼쪽 오른쪽으로 움직이거나 서서히 멀어지거나 가까위지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하단에 있는 재생버튼으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8. 표지 사용 하기(3D효과)

 

이건 조금 멋있는 기능입니다.

단순하지만 멋있는 라이브러리상의 3D 개체를 위에 덮어 쓰는 것입니다.

잘 사용하면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많아집니다.

 

 

 

 

 

9. 표지 사용하기 (필터)

 

요즘 유료 프로그램은 엄청날 정도로 필터를 제공하죠.

그거랑 비교하면 아쉬울 수 있지만 이놈은 기본 탑제 프로그램이니 비난하지는 맙시다.

심플한 필터를 제공합니다. 단순한 그림일때는 충분한 레벨입니다.

 

표지 같이 만들기

 

 

320x100

 

 

 

 

10. 완성본 보기

 

이러고 바깥으로 나오면 영상 재생버튼을 통해 어떻게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리웨어를 사용하는 간단한 기능임에도 이정도면 나쁘지 않네요.

원본 일러스트가 좋아서 그럴수도 있겠군요.

 

플레이 영상

 

윈도우10이 대중화된 지금은 사실상 무료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인 사진앱과 그 표지프로그램 기능이였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