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요즘에는 NAS 서버등 좋은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필요한 장비, 인프라가 없는 상황이라 집에서는 편하게 사용하려고 오랜만에 FTP를 이용해 보았습니다.

어떻게 만드는지 모르는 것도 있고요.

Windows 10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FTP(File Transfer Protocol)의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① 제어판을 열어서 프로그램 및 기능을 찾습니다.

 

Windows 기본 검색기능을 이용해서 제어판을 찾아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프로그램 및 기능을 찾습니다.

Windows에서는 이것 말고도 여러가지 루트가 있지만 이 방법이 젤 만만합니다.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및 기능

 

 

 

 

② Windows 기능에 들어갑니다.

 

프로그램 및 기능의 좌측 매뉴에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를 클릭합니다.

여기에서는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서 두 가지 기능을 찾아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인터넷 정보 서비스] - [FTP 서버] - [FTP 서비스][인터넷 정보 서비스] - [웹 관리 도구] - [IIS 관리 콘솔]입니다.

확인을 누르면 뭔가 설치를 합니다. 여기까지 하면 FTP를 사용할 준비가 됩니다.

 

Windows 기능 켜기/끄기

 

 

 

 

③ IIS 관리자를 찾습니다.

 

제어판으로 돌아가보면 "관리 도구"라는 매뉴가 있습니다.

이 곳에 들어가면 보면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 관리자"라는 매뉴가 활성화 되어있습니다.

방금 활성화 시킨 건데 재부팅 할 필요없이 바로 있을 것입니다.

 

ISS 인터넷 정보 서비스 찾기

 

 

 

 

④ FTP 사이트의 설정을 시작합니다.

 

IIS 관리자 매뉴에 들어가면 좌측 상단에 컴퓨터 정보가 있습니다.

사이트를 열어서 오른쪽 클릭하면 "FTP 사이트 추가"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이제 FTP에 기본 내용을 설정하고 만드는 작업을 합니다.

 

FTP를 만들기

 

 

 

 

⑤ 바인딩 및 SSL 설정과 인증 및 권한 부여 정보를 합니다.

 

포트는 기본 설정 그대로 21로 그리고 "자동으로 FTP 사이트 시작"은 꺼두었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사용자와 권한 설정을 했습니다.

파일이 왔다갔다 할 예정임으로 읽기와 쓰기 모드 권한이 필요했습니다.

사용자도 "지정한 사용자"만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자신에게 맞게 설정합니다.

이 부분은 추후에 다시 설정이 가능합니다.

 

 

 

 

⑥ 아직 끝이 아닙니다. FTP가 시작된 것을 확인합시다.

 

FTP는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 끝이 아닙니다.

IIS에서 FTP가 잘 동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군요.

 

FTP가 만들어졌고 시작되었습니다.

 

 

 

 

⑦ FTP를 사용할 사용자를 하나 만듭니다.

 

이번에는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로 이동하여

[왼쪽 매뉴] - [로컬 사용자 그룹] - [사용자]을 선택해서 빈 공간에 "오른쪽 클릭" - "새 사용자"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TOAST라는 새 사용자를 만들겠습니다.

어차피 혼자 쓸 생각이라서 하나면 충분합니다.

 

사용자를 만듭니다.

 

 

 

 

⑧ 방화벽 설정을 합니다.

 

방화벽에서 FTP의 규칙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다시 [제어판] - [Windows Defender 방화벽] - [고급 설정]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FTP관련 매뉴가 3가지 있는데 동시에 선택하고 오른쪽 클릭해서 "규칙 사용"을 활성화합니다.

 

방화벽 설정하기

 

 

 

 

⑨ FTP 재실행하기

 

방금 들어갔던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 에 다시 들어갑니다.

왼쪽을 보면 "서비스"가 있는데 이 곳에서 "Microsoft FTP Service"를 다시 찾을 수 있습니다.

이걸 오른 쪽 클릭하고 "다시 시작"합니다.

참고로 언제든지 이 곳에서 FTP를 수동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서비스에서 FTP 재부팅하기

 

 

 

 

⑩ FTP에 접속하기

 

동일 네트워크상에 있는 다른 컴퓨터에서 쉽게 FTP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인터넷 브라우져나 윈도우 탐색기에서 FTP://"IP 주소"를 누르면 접속이 가능합니다.

이제 기본적인 FTP의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이제 사용자의 이름과 PW를 입력하고 사용합니다.

 

과정이 길었습니다. 하지만 서버하나 만드는데 이 정도면 굉장히 심플하다고 해야 합니다.

컴퓨터간에 파일을 옮기는 것이 별거 아닌 시대입니다.

그래도 양이 많거나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에는 서버만큼 좋은 일이 없습니다.


 

FTP는 이미 오래된 방식의 서버라서 보안이 취약하다고 합니다.

항상 켜두면 알수없는 대상에게 파일이 공격받을 수 있다고 하니 필요할 때만 켜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꼴에 서버라서 설정해야 할 것이 몇가지 더 있기는 합니다.

그건 다음 기회에 소개드리도록 하고 오늘은 여기 FTP를 오픈하는 과정까지만 진행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