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차

1. 소비자 물가지수란

2. 소비자 물가 지수 계산방법

3. 실제 소비자 물가 변화

 

요즘 정말 물가가 올랐습니다.

오랜만에 간 식당에서 계산이 잘못된 줄 알고 매뉴판을 다시 확인한 적도 있었고요.

거의 대부분의 돈주고 사는 것들이 앞자리가 바꼈습니다. 그래서 물가가 무엇인지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나라에세 물가를 관리하는 방법인 소비자 물가지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소비자 물가지수란

 

소비자 물가지수는 통계청에서 CPI 물가지수(https://kostat.go.kr/cpi/) 홈페이지등을 통해서 공지하고

월단위로 갱신합니다. 홈페이지에는 그 외에도 각종 보고서를 제공하여 필요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 통계청 CPI 물가지수 페이지

 

소비자 물가 지수는 1965년 2월부터 대한민국 통계청 주관으로 수집하고 있는 전통적인 지표입니다.

한국은행에서는 5년에 한번씩 물품을 선정하고 그 기준해가 100이 됩니다.

즉, 지금은 2020년이 100이지만 2025년이 되면 100이 되는 해가 변합니다.

 

전체 시장 규모 중 0.01%가 넘는 품목 500개를 선정하여 지수를 뽑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품목의 선정기준은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①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비 지출액이 일정비율 이상(0.01%)

② 동종 품목군의 가격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함

③ 시장에서 계속적으로 가격조사가 가능한 품목

 

부문별 품목수(2023년 12월 기준) - 통계청 CPI 물가지수 페이지

 

그래서 낙시용 UV, C형-B형 연결 케이블 같은 시장규모가 작은 물건은 가격이 변해도 전체지수에 영향이 없습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비중이 높은 제품의 가격대가 변하면 같이 다른 작은 것들은 따라갑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소비자 물가지수는 믿을 만한 지표입니다.

 

 

2. 소비자 물가 지수 계산방법

 

소비자 물가 지수는 라스파이레스 물가지수 방식을 따릅니다.

이 지수에서는 기준년도에 물건이 팔린 수량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매년 조사한 가격으로 대입니다.

물가지수를 뽑기 위해서는 거래량과 가격이 중요합니다.

 

  • 기준년도 물품들의 가격 : P10, P20, P30 .... 
  • 기준년도 물품들의 거래량 : Q10, Q20, Q30 ...
  • 비교년도 물품들의 가격 : P11, P21, P31 .... 
  • 비교년도 물품들의 거래량 : Q11, Q21, Q31 ...

 

① 라스파이레스 물가지수(Laspeyres Price Index) - 소비자 물가지수

 

이 지수에서는 수량을 기준연도로 고정합니다.

같은 돈으로 물건을 얼마나 살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기준연도가 과거로 설정되는 경우 미래 시점의 가격이 보통 오르기 때문에 과대평가가 됩니다.

 

수량은 기준연도로 고정합니다.

 

② 파셰 물가 지수(Paashe Price Index)

 

이 지수에서는 수량을 비교연도로 고정합니다.

최근에 가격을 기준으로 잡다보니 과소 평가된 결과가 나옵니다.

 

수량을 비교연도로 고정합니다.

 

320x100

 

 

3. 실제 소비자 물가 변화

 

2023년 기준으로 살면서 가장 물가가 오른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통계청에 들어가서 데이터를 받아 봤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최근 2년간 엄청난 물가상승이 나왔습니다 .

 

소비자 물가지수 전부

 

통계청의 연구자료를 보면 1998년 외환위기에 7.5%, 2008년 4.7%로 크게 상승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최근의 2022년 5.1%, 2023년 3.6% 연속 2번 큰 상승은 이번이 역사적으로 잘 없는 일이네요.

통계가 체감하고 잘 맞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살기는 점점 팍팍해 지네요.

언제 내 월급이 물가보다 더 오를지 그런 날이 오기는 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