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눈은 기후현상의 하나로 하늘에서 공기중에서 수증기가 얼어서 만들어진 얼음결정이 떨어지는 형태입니다.

이 때 얼음 결정들이 단단하게 뭉치지 못하고 부드럽게 만들어집니다.

하얀 눈은 지상을 가득 메워 겨울철의 절경을 만들고는 합니다.

이 눈은 기본적으로 얼음인데 눈이 내리면 날씨가 따뜻해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눈이 내린 9일이 가장 따뜻합니다.

 

 

1. 승화열의 발생

 

눈이 형성되는 곳은 보통 고도 2,000~10,000 m 위의 하늘입니다.

여기는 기압이 낮고,온도는 낮은 상태로 수증기(기체)나 작은 물방울(액체)이 되어 있습니다.

그러다 물방울이 일정이상 모이면 땅으로 떨어지는데 물이 되어 떨어지는데 이상태로 비가 됩니다.

기온이 추운 날에는 내려오면서 얼어야 하지만 기압이 낮아 한참을 얼지 않습니다.

 

승화열 발생

 

그러다 내려오는 과정에서 압력이 다시 높아지면서 눈으로 변합니다.

액체가 고체로 바뀌면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 때문에 대기가 따듯해 집니다.

 

 

2. 우리나라의 지형에 따른 기온상승

 

우리나라는 북쪽은 대륙 동,서,남쪽은 바다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북반구에서는 북쪽은 추운 방향이고 남쪽은 적도에 가까운 따뜻한 방향입니다.

비나 눈이 내리기 위해서는 대량의 습기가 필요한데 그걸 만들수 있는 물이 바다에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지형

 

그런데 추운 공기는 북쪽의 건조한 대륙에서 옵니다.

즉 눈이 내릴때는 기후가 비교적 따뜻한 곳의 영향을 받을 때가 많아서 따뜻하기 쉽습니다.

큰 눈의 경우에는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고는 눈이 내리는 날은 따뜻합니다.

 

 

3. 시각/심리적인 효과

 

눈은 하얀색이기는 하지만 약간 파란색이 감도는 색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건 주변이 좀 따뜻해 보이는 효과가 있기도 합니다.

반사율이 높아서 빛을 잘 반사시켜서 주변이 밝아져 보이고 실제로 눈으로 부터 상당한 빛을 받게 됩니다.

또 느껴지는 질감도 부드러워 심리적으로 약간 포근해지게 합니다.

이런 심리적인 효과는 사람이 눈 오는 날 따뜻해 진다고 생각하는데 지대한 효과를 줍니다.

 

눈이 내린 산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