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차

1. 분산형 차트(Scatter Plot)

2. 분산형 그래프의 종류

3. 추세선 그리기

4. 추세선 선택하고 보는 법

 

분산형 차트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엑셀의 그래프의 하나입니다.

두가지 변수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얼핏 꺽은선 그래프와 비슷해 보입니다.

하지만 차이는 X축과 Y축의 숫자가 모두 반영된다는 것입니다.

두개의 범위를 선택하고 분산형 차트를 그리면 보통 왼쪽의 데이터는 X 축, 오른쪽은 Y가 됩니다.

(배치가 가로 일때는 맨위가 X축, 그 아래는 Y 축이 됩니다.)

 

분산형 차트 그리기

 

320x100

 

 

1. 분산형 차트(Scatter Plot)

 

이 그래프는 X축과 Y축의 DATA가 필요합니다.

둘 중 하나만 입력할 경우 자동으로 1, 2, 3 ... 하는 식으로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래서는 분산형 차트의 장점이 없습니다.

위의 그래프의 경우에는 X 축의 온도가 5도 간격으로 배치됨으로 그래프도 그렇게 그려집니다.

데이터를 입력할 때도 X와 Y를 한 계열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분산형 차트의 데이터

 

 

2. 분산형 그래프의 종류

 

이런 분산형 그래프는 여러 디자인을 지원합니다.
표식만 있는 경우, 선만 있는 경우, 선과 표식이 다 있는 경우를 표현할 수 있고,
선을 직선과 곡선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분산형의 종류

 

 

3. 추세선 그리기

 

분산형 그래프는 추세선 기능과 가장 잘 어울리는 표입니다.
X, Y가 비율에 맞기 때문에 추세선에 어울리는데요.
그래서 수학적으로 의미 있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딱 좋습니다.

 

추세선 그리기

 

추세선을 그리려면

① 계열을 클릭하고 오른쪽 키를 선택해서 "추세선 추가"를 선택합니다.

또는

② 표를 선택하고 [상단매뉴] - [차트요소 추가] - [추세선]을 선택합니다.

 

추세선 추가

 

추세선은 방정식과 결정계수를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R2라고 불리는 결정계수를 통해서 추세선이 정확한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또 추세선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선형 말고도, 지수, 로그, 다항식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추세선에 수식 추가하기

 

 

 

4. 추세선 선택하고 보는 법

 

상관관계를 볼 때 추세선이 얼마나 데이터를 잘 반영하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R-제곱 값을 차트에 표시할 수 있는데 R-제곱 값을 결정계수라고 합니다.

이 결정계수가 1이면 완벽에 가깝게 추세를 표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기 데이터는 왼쪽의 선형으로 그린 경우 R-제곱이 0.72로 낮습니다.

눈으로 봐도 추세선과 데이터가 다릅니다.

하지만 오른쪽의 5차 방정식으로 그린 경우 R-제곱이 0.96으로 올라갑니다.

선이 데이터를 잘 따라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추세선 고르기

 

이렇게 비선형 데이터의 경우 추세선을 변경해 가면서 최적화 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