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메크로 환경에서 모든 파일을 미리 열어놓고 진행 하는 것이 힘들 때가 있습니다.

필요할 때 파일을 열수도 있어야 하고요, 프로그램을 오픈하는 그자체가 메크로의 주요기능이 되기도 합니다.

오토핫키에서 파일을 열 때 사용하는 RUN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20x100

 

 

1. RUN

 

Run, Target {, WorkingDir, Options, OutputVarPID}  : RUN은 Target 파일을 찾아서 오픈합니다. 오픈할땐 Window에서 설정한 기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합니다

 

  • Target : 파일의 이름, 혹은 경로를 포함한 이름입니다. 경로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행한 스크립트 파일(해당파일)과 같은 폴더(A_WorkingDir)에서 불러옵니다.
  • WorkingDir : 파일의 경로명입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실행 파일이 있는 폴더(A_WorkingDir)가 선택됩니다.
  • Option : 파일을 열었을때 상태를 설정합니다.
     - Max, Min : 파일의 창을 최대,최소로 하여 실행하지만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무시될 수도 있습니다.
     - Hide : 숨긴상태로 프로그램을 오픈합니다.
     - UseErrorLevel : ErrorLevel이라는 내부변수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파일을 찾았을때는 0, 파일을 못찾거나 하는등 에러가 발생하면그 외의 숫자가 들어갑니다.
  • OutputVarPID : RUN을 통해서 오픈되는 프로그램의 고유 프로세스 ID를 저장할 변수의 이름을 할당합니다.
  • RUN에 내부에 들어갈 경우 오토핫키에서는 실행되도 프로그램이 늦게 결과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하나의 창이 열리기 기다리는 코드인 WinWait ahk_pid %OutputVarPID% 명령어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도움말 참고한 내용입니다.)

 

 

예시1) RUN C:\Users\jong\Desktop\임시\예시.txt : "C:\Users\jong\Desktop\임시" 경로의 "예시.txt" 파일을 오픈합니다.

예시2) RUN 예시.txt, C:\Users\jong\Desktop\임시 : 예시1과 같습니다.

예시3) RUN https://toast-story.tistory.com : 사이트로 연결합니다.

예시4) RUN mailto:ex@exsite.com : 기본 메일 프로그램으로 대상에게 메일을 작성합니다.

 

RUN은 파일을 오픈하기도 하지만 사이트를 오픈하는 등 생각보다 응용이 많습니다.

그 중 하나는 RUNWait입니다.

 

RunWait, Target {, WorkingDir, Options, OutputVarPID} : RunWait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는 동안은 코드가 정지되어 있다가 해당 프로그램이 종료 후에 뒷줄로 넘어가 실행합니다.

 

 

2. RUN의 속성 기능들

 

그냥 프로그램을 오픈하는게 아니라 경로명 앞에 속성 명령을 붙여서 파일에 접근하는 동작을 다르게 할 수 있습니다.

 

  • *verb : 시스템에-정의된 또는 맞춤 문맥 메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예 *RUNas)
  • properties : 파일이나 폴더를 오른쪽으로 클릭했을 때 선택할 수 있는 속성창을 불러옵니다.
  • find : Target이 파일이 아니라 폴더 경로여야 합니다. 파일의 탐색기를 열고 검색기능을 활성화 시킵니다.
  • explore : 지시된 폴더에 탐색기를 실행합니다.
  • edit : 실행한 파일이 실행프로그램과 별도로 edit가 설정되어 있을때 edit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합니다.
  • open : 그냥 run을 실행한 것과 같이 프로램을 실행시킵니다. 보통은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 print : Target 파일이 연관된 인쇄기능과 연결되어 있을 때 미리 해둔 설정으로 인쇄합니다.

 

예시) RUN properties C:\Users\jong\Desktop\임시\예시.txt : 예시.txt라는 파일의 속성에 접근합니다.

 

속성창을 부릅니다.

 

 

3. 그외 기능

 

%Comspec% 속성을 통해서 윈도우의 Commend 창을 부릅니다.

Window Commend 창에서 뭔가를 명령하는 것은 Send를 사용하거나 하는 별도의 동작이 필요합니다.

예시) RUN %Comspec%

 

 

*RunAs는 마우스 오른쪽키를 눌러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것과 같은 효과를 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