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수법, 수를 세는 진수 체계에 대한 개념과 사용법과 진수 변환하는 방법
기수법은 여러가지 사유로 사용되고 변환됩니다.
주로 컴퓨터나 프로그램이 알아듣는 숫자와 사람이 알아듣기 쉬운 십진수와 많이 교환합니다.
상단의 포스팅에서 알아봤지만 손으로 직접 계산하려면 좀 번거롭습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십진수를 기준으로 다른 기수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십진수를 다른 기수로 변경하는 BASE 함수
BASE(number, radix, [min_length]) : 십진수의 숫자인 "number"을 "radix"에 입력된 숫자의 기수로 변경합니다. 이 함수에서는 수가 많은 진수의 경우 알파벳을 포함하여 결과는 텍스트 형식이 됩니다.
- number : 십진수의 숫자입니다. 양수만 변환할 수 있으며 0 ~ 2^53 사이에 숫자에서만 동작합니다.
- radix : 숫자를 변환하려는 기수의 숫자입니다. 엑셀에서는 2진법 ~ 36진법까지만 변환가능합니다.
- [min_length] : 반환된 문자의 최소수입니다. 큰 자리수를 0으로 체우는데 예를 들어 "1011"을 "00001011"로 출력하도록 합니다. 최대 255까지 입력 가능합니다.
이 함수는 십진수를 다른 진수로 변환합니다.
텍스트를 입력하면 #VALUE! 에러는 반환합니다.
음수는 변환하지 않고 소수점을 입력하면 버림한 후에 연산하고 결과를 반환합니다.
진수변환하다보면 상당히 큰수를 쓸 때도 있는데 엑셀에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사용예시>

적용은 필요한 숫자를 입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이진수나 16진수로 쉽고 빠르게 변환해 주는 편리한 함수입니다.
2. 다른 기수를 십진수로 변환하는 Decimal 함수
DECIMAL(text, radix) : 다른 진수의 텍스트형식의 숫자를 "text"와 해당 숫자의 기수 숫자 "radix"를 입력하면 십진수로 변환합니다. 텍스트 형식이라고 하지만 숫자를 바로 입력해도 상관 없습니다.
- text : 변환하려는 숫자입니다. 기수표현인 "radix"보다 크면 #NUM! 에러가 발생합니다. 예로 radix가 2진수인데 숫자 3을 입력할 경우 발생합니다. 10 이후의 숫자는 알파벳 순서대로 a, b, c ... 표기하면 됩니다.
- radix : "text"에 입력한 숫자의 진수입니다. 엑셀에서는 2~36진법까지 계산이 가능하고 이 범위를 넘어가면 #NUM! 에러를 반환합니다.
이 함수는 다른 진수의 숫자를 십진수로 반환합니다.
기수에 적합한 영문자는 계산하지만 기수를 넘어가면 에러를 반환합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2^53을 넘는 숫자에도 계산은 하지만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용예시>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복잡한 16진수 숫자가 가볍게 십진수로 변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