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대로마에서는 현대와 다른 기수법을 사용했습니다.

1~10은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Ⅸ, Ⅹ로 표기하며 숫자마다 표시하는 기호가 있습니다.

기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로마의 영향이 엄청나서 중세까지 사용된 여파로 조각, 기술 같은 분야에서 꾸준히 쓰였습니다.
특히 시계같은 경우에는 최근까지도 로마자로 표기된 디자인이 상당히 많습니다.

 

로마자로 표기된 시계

 

윈도우에서는 특수문자를 넣을 수 있는 기능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한글 키보드에서는 ㅈ+한자키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로마자 숫자 추가하기

 

로마자는 기호가 5단위로 설정되어 있어 기호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로마자 기호

 

 

① 기본적으로 모든 기호를 더하면 숫자가 되는 방식입니다.

지금 흔히 사용하는 십진법의 아라비안 숫자에 비해서 긴 특성이있습니다.
CXXII = C(100) + X(10) + X(10) + I(1) + I(1) = 122 가 됩니다.

 

② 예외 규칙으로 빼기 법칙이 있습니다.

작은 숫자가 큰숫자 뒤에 오면 그순간에는 빼기가 됩니다.
IV = V(5) - I(1) = 4가 됩니다.
이 규칙은 주로 같은 자리수에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꼭 그런건 아니라서
49를 IL = L(50) - I(1)으로 표기할 수도 있고, XLIX = L(50) - X(10) + X(10) - I(1)로 표기가 가능합니다.

 

아직도 자주 쓰이는 숫자체계라서 엑셀에서도 일반숫자를 로마 숫자로 변환해주는 함수가 존재합니다.

 

ROMAN(number, [form]) : 숫자를 로마자로 변환해 줍니다.

 

  • number : 변환할 숫자입니다. 아라비아 숫자를 입력하면 됩니다.
  • form : 양식을 지정합니다.
    - 0(False) : 빼기 규칙을 엄격하게 적용합니다.
    (같은 자리에서만 빼기 허용 XL = L(50) - X(10)은 허용하나, IL = L(49) - I(1)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 1 : 빼기 규칙을 어느정도 허용합니다. LD = D(500) - L(50) 허용함
    - 2 : 보다 많이 때기 규칙을 허용합니다. XD = D(500) - X(10)을 허용함
    - 3 : 더 많이 때기 규칙을 허용합니다. VD = D(500) - V(5)을 허용함
    - 4 : 빼기 규칙에 제한이 없습니다. ID = D(500) - I(1)을 허용함

 

(예시)

예시 결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