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점 이하의 자리가 없는 수를 정수라고하고 물건을 세는 등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2개 단위로 짝을 이루는 수를 짝수, 짝을 이루지 못하는 수를 홀수라고 합니다.

이 짝수와 홀수를 출력하는 함수 두개를 알아보겠습니다.
1. ODD 함수와 EVEN 함수
ODD(number) : 가장 가까운 홀수로 올림한 수를 반환합니다.
EVEN(number) : 가장 가까운 짝수로 올림한 수를 반환합니다.
- number : 올림할 수입니다. 수자체는 양수든 음수든 상관없습니다.
- 텍스트를 입력하면 #value 오류를 반환합니다.
- 0에서 먼 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 이미 입력한 숫자가 짝수이거나 홀수이면 그냥 그 숫자를 그대로 반환합니다.

0에서 먼 값에 대해서는 양수는 큰 쪽으로 음수는 작은 쪽으로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절대값이 큰쪽으로 보면 됩니다.
ODD(2) = 3이 되고 ODD(-2) = -3이 되는 것입니다.
2. 짝수와 홀수의 쓰임처
얼핏 일상에서는 생각하기 힘들기는 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용처가 있습니다.
몇가지 예시를 소개해보겠습니다.
① 홀수로 변환할 때
여러 모델이 있는 겨우, 부품이 파츠가 짝을 이루고 나서 손잡이 부분이 하나 필요하다고 합시다.
이때 디자인에 손잡이가 없으면 하나 제공해야합니다.
이럴때는 원래 홀수면 내버려두고, 홀수가 아니면 한개를 추가하게 됩니다.
② 짝수로 변환할 때
포장지에는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짝수로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만일 홀수가 나오면 더미로 넣어야 함으로 하나 더 준비해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숫자가 고정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홀짝을 찾는 것은 눈으로도 할 수 있지만 미리미리 양식에 적용해두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위에서든 포장같은 경우 좀더 복잡한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는 MROUND 함수가 있기는 합니다.
MROUND 함수의 설명도 링크로 남겨두니 필요하면 클릭해주세요.
엑셀(EXCEL)의 배수로 반올림의 기준을 설정하는 MROUND 함수로 각종 자리 맞춤하기(0.5배수로 반올림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