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차

1. 실행하는 방법(Auto Hot Key 2.0 기준)

2. Window SPY 실행하기

3. Follow Mouse - 멈추기

4. Window Class and Process - 마우스 아래있는 창의 이름과 번호

5. Mouse Position : 마우스의 정보

 

Auto Hot Key에 대해서 공부를 시작하면 곧 강력한 메크로 기능에 빠져들게 됩니다.

계속 강조 하지만 초보자가 접근하서 짜더라도 아웃풋이 상당히 훌륭하게 됩니다.

Auto Hot Key 2.0의 보조기능 Window SPY에 알아보겠습니다.

 

1. 실행하는 방법(Auto Hot Key 2.0 기준)

 

① 처음 설치하면 시작화면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냥 실행합니다.

②  Auto Hot Key Dash를 실행하면 Window Spy가 있습니다.

스크립트 실행 아이콘 우클릭을 통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3번째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냥 버릇이에요)

 

 

 

 

 

2. Window SPY 실행하기

 

SPY의 주요기능을 다른 프로그램의 정보를 받아 옵니다.

마우스 움직이면서 마우스의 위치와 아래에 있는 창의 정보를 가져 옵니다.

이때 창이 활성화 되었든 아니든 상관없습니다.

아래를 보시면 마우스가 움직이면 오른 쪽의 SPY의 숫자가 마구마구 변하는 것을 보실 수 있어요.

 

 

마우스를 따라다니는 프로그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Window SPY 역시 Auto Hot Key로 만든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모든기능이 별도로 구현 가능합니다.

 

3. Follow Mouse - 멈추기

 

 

Follow Mouse는 끄면 더이상 마우스를 따라다니면서 값이 변하지 않고 지금상태에서 숫자들이 멈춥니다.

계속 움직이다가 원하는 정보가 뜨면 고정시키는 용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은 체크가 되어 기능을 활성화 합니다.

 

4. Window Class and Process - 마우스 아래있는 창의 이름과 번호

 

 

맨위에 있는 창입니다.

마우스 커서 아래의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의 정보를 추출합니다.

run같은 외부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명령어에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맨위는 프로그램의 이름과 프로그램의 명입니다.
  • ahk_class : "프로그램명" 운영체제에 들어가는 프로그램이름이 있습니다.
  • ahk_exe : "프로그램"의 실행파일입니다.
  • ahk_pid : 해당 프로그램의 "프로세스의 고유번호 - ID" 입니다.
  • ahk_id : 창이나 컨트롤의 "고유번호, ID" 입니다.

 

320x100

 

 

5. Mouse Position : 마우스의 정보

 

마우스 좌표와 마우스가 있는 장소의 색을 알아냅니다.

 

  • Screen : 절대좌표계의 마우스 좌표입니다. 모니터가 여러 개인 경우에는 활성화 된 창이 있는 모니터를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여러개의 모니터가 있을때는 음수가 표현됩니다.
  • Window : Window 좌표계입니다. 창의 왼쪽 상단이 0,0 인 좌표계입니다. 음수표기가 가능합니다.
  • Client : 클라이언트 좌표계입니다. 창의 실행영역을 기준으로 합니다.
  • Color : 마우스 바로 아래의 한개의 좌표입니다. 16진수 RGB 표현으로 하얀색은 FFFFFF가 됩니다.

 

6. Control Under Mouse Position : 마우스 아래 있는 창의 위치 정보

 

 

  • ClassNN : 컨트롤의 클레스이름과 실체번호
  • Text : 창의 글자정보(항상 읽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 Screen : 창의 왼쪽 위를 기준의 창의 위치 x, y와 크기 w, h를 알려줍니다.
  • Client : 창의 클라이언트 좌표입니다. x, y가 항상 0인 것은 아닙니다. w, h는 클라이언트 기준입니다.

 

7. Active window Position : 활성화된 창의 정보

 

 

활성화된 창을 기준으로 마우스 아래 있는 창의 위치와 크기를 제안합니다.

좀 특이하지만 두 가지 프로그램을 사용할 일이 많습니다.

  • Screen : 활성화 된 창의 좌상단 기준으로 x, y의 크기, 창의 크기를 w, h
  • Client : 활성화 된 창의 활성화 창을 기준으로 x, y의 크기, 창의 크기를 w, h

 

이해가 좀 되시는 지요? 설명만 들어서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창을 열어 마우스를 움직이고 값이 변하는 걸 보시면서 연습하면 금방 사용하실 수 있을 껍니다.

 

 

 

반응형
728x90
목차

1. 다운 및 설치하기

2. 메크로 작성하기(F2 키를 메크로로 만들기)

 

오토핫키는 2003년에 공개된 스크립트 기반의 언어입니다.
스크립트 매크로를 짜기 위한 언어로 기능 자동화에 특화되어있습니다.
언어라고 하면 엄청 어렵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오토핫키는 직관적이고 배우기 쉽습니다.
그래도 언어니 명령어를 익히고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1. 다운 및 설치하기

 

프로그램은 무료로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s://www.autohotkey.com/

 

AutoHotkey

AutoHotkey provides a simple, flexible syntax allowing you to focus more on the task at hand rather than every single little technicality. It supports not only the popular imperative-procedural paradigm, but also object-oriented and command-based programmi

www.autohotkey.com

 

홈페이지에 입장하자마자 다운로드 버튼이 크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다운로드키를 누르면 버전을 선택하게 됩니다.

v1.0과 문법차이는 없지만 두버전다 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v2.0으로 다운 받겠습니다.
사용법은 거의 비슷하고 현재까지 다른사람이 작성한 파일을 받으려면 v1.0이 좋습니다.
저는 앞으로 더욱 발전할거라 기대를하고 2.0으로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설치파일을 인스톨하면 바로 설치됩니다.(오류가 나면 무시하고 진행해야 합니다.)

용량도 작고 바르게 설치됩니다.

 

 

실행하여 NEW Script를 선택하고 이름을 입력하면 스크립트 파일이 형성됩니다.
선택한 경로에 아이콘이 생깁니다.

 

 

실행 아이콘에 오른쪽 클릭을 해서 "edit script"를 실행합니다.

다른 편집기를 가지고 있는 분은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저는 메모장을 쓰겠습니다.

 

 

처음 실행할 때는 에디터를 편집하는 창이 뜨고 메모장을 선택하면 됩니다.
당황스러울 정도로 그냥 메모장만 뜹니다. 기본적인 명령을 입력해 보겠습니다.
이전버전에서는 기본적인 설명이 있어고 일일히 지워졌어야 했습니다.
그때는 귀찮았지만 이렇게 아무것도 없는 것도 허전하기는 하네요.

 

 

320x100

 


 

2. 메크로 작성하기(F2 키를 메크로로 만들기)

 

기초적인 메크로를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쓰시는 분은 생소할 수 있습니다.
순서에 따라 작성하니 보시고 따라하면 됩니다.
단축키로 사용할 F2을 입력합니다.

 

F2::
Msgbox, Hellow world!
return

 

소스를 작성을 하고 평범하게 메모장을 저장을 한 후에 외부에서 .ahk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합니다.

그럼 경고창이 뜨는데 설치를 해주면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부분이 인스톨됩니다.
이제 진짜로 인스톨이 완료되었습니다.(아직 2.0버전은 불안한 점이 있습니다.)

 

 

이 단계 후에 Window 운영체계의 좌하단 실해되고 있는 스크립트에 Auto hot key 아이콘이 뜹니다.
한번 종료해주고 다시 실행하는게 좋습니다.
스크립트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단축키로 지정한 F2를 치면 명령이 실행됩니다.

 

오토핫키가 실행되고 있습니다

 

실행창에서 오토핫키 아이콘을 확인한 후에 F2를 누르면 Msgbox가 실행됩니다.

프로그램에 뭔가 갱신내용이 있으면 똑같이 메모장을 저장한 후에 다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변경사항이 적용됩니다.

적용하지 않으면 기존 내용이 계속들어가 있습니다.

실행을 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