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엑셀은 셀이라고 부르는 칸이나 도형에 글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셀에 입력할 때 텍스트의 위치나 모양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맞춤은 [상단매뉴] - [홈] - [맞춤]에서 기본 기능 중 자주쓰는 것을 바로가기로 모아 두었습니다.

 

매뉴의 바로가기

 

종합적인 기능은 맞춤 탭에서 ↘를 누르거나 단축키 Ctrl + 1의 셀서식에서 맞춤 탭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에 맞춤기능이 상세한 맞춤 기능이 들어 있습니다.

 

셀 서식의 맞춤 기능

 

320x100

 

 

1. 텍스트 맞춤 기능

 

가로일 때와 세로일 때가 정렬이 다릅니다.

가로 옵션을 설명하면 세로는 따라서 이해됨으로 가로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가로와 세로의 정렬 옵션들

 

정렬의 종류와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정렬의 옵션과 설명

 

2. 들여쓰기

 

들여쓰기는 오른쪽와 왼쪽으로 정렬중에 빈칸을 앞에 하나 넣습니다.

다만 엑셀에서는 소수점 단위의 들여쓰기가 안됩니다.

문서를 보기 좋게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들여쓰기

 

3. 텍스트 조정

 

칸에 글자를 체워넣는데 도움되는 기능입니다.

텍스트가 칸보다 많아서 넘칠 때 주로 사용합니다.

 

조정 매뉴

 

"자동 줄 바꿈""셀에 맞춤"과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정 기능 설명

 

4.  방향

 

칸을 회전 회전시킵니다.

 

 

45도를 돌리면 칸전체가 회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글자를 돌리는 기능이 아니라 칸을 돌리는 기능임을 알 수 있습니다.

 

회전시키기

 

 

반응형
728x90
목차

1. 앞에 숫자 붙이기

2. 뒤로 정렬하는 수식 사용하기

 

 

많은 목록들이 순번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월, 숫자를 글로 쓴경우라던가 차순으로 정리하면 오히려 목록이 무너지는 경우도있습니다.
작성한 리스트를 끝에서부터 다시 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20x100

 

 

1. 앞에 숫자 붙이기

 

앞쪽에 숫자를 붙여서 정렬기능으로 바꾸면 됩니다.

연속 채우기 기능으로 순번을 붙이기 쉽고, 원래 붙어있었던 위치를 파악하기도 쉽습니다.

목록의 고유키 역할을 해줍니다.

① 목록 앞에 숫자를 붙이고, 선택합니다.

②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정렬] - [내림차순으로 정렬]을 선택합니다.

③ 숫자가 바뀐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렬하기

 

 

 

2. 뒤로 정렬하는 수식 사용하기


수식을 사용해서 목록을 꺼꾸로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일단 수식을 사용함으로 원본이 그대로 남고, 또 고유키를 번거롭지 않아도 붙일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원하는 만큼만 작업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네요.

 

함수

=INDEX(정렬할 리스트,COUNTA(정렬할 리스트)+ROW(리스트 맨 위의 값)-ROW(),1)

 

먼저 사용한 예시부터 보겠습니다.

 

예시

 

함수의 작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NDEX($E$23:$E$34,COUNTA($E$23:$E$34)+ROW($E$23)-ROW(),1)

 

  • INDEX(범위, 행번호,1) : 범위에서 (행번호 , 1)의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열은하나뿐이니 1 고정입니다.
  • COUNTA($E$23:$E$34) : 범위 내의 값 수를 센다. 위의 예시에서는 12개가 됩니다.
  • ROW($E$23)-ROW() : 범위내의 첫번째 칸의 행번호와 지금 행번호를 뺀다. 
    지금 행번호는 첫번째는 0이고 아래로 내려오면서 감소하니까 위에서부터 0, -1, -2가 되것입니다.
  • COUNTA($E$23:$E$34)+ROW($E$23)-ROW() : 범위내의 값에서 행이 내려오면 12,11,10 … 이런식으로 값이 작아집니다.
  • 이제 INDEX 함수가 범위를 하나씩 꺼꾸로 가져옵니다.

이 Row값 뒤에 숫자를 더하거나 빼면 순번을 바꿀 수 있습니다.

다만 0보다 작아지거가 범위의 숫자 COUNTA 보다 커지면 오류가 납니다.

 

 


거의 언제나 첫번째 방법으로 처리합니다.

그런데 어느날 작업을 하다가 이런게 함수를 짜두면 편할 것 같다고 생각이 들어 이번에 만들어 보았습니다.

근데 첫번째 방법이 좋은 것 같네요. 심플한게 좋죠.

반응형
728x90

엑셀은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모으게 됩니다.

데이터를 보기 쉽도록 혹은 사용할 순서를 정하기 위해 정렬을 하기도 합니다.

데이터 필터를 통해서 정렬을 할 수도 있습니다.(필터 기능의 정렬)

하지만 이번에는 데이터의 정렬기능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320x100

 

1. 데이터를 선택하기

 

정렬기능을 실행할 범위를 먼저 선택해야 합니다.

표가 끊어진 행, 열이 없는 경우에은 표 안의 데이터 한 칸만 선택해도 되지만 전체를 수동으로 선택해도 됩니다.

표 선택하기

 

 

2. 데이터 정렬하기

 

엑셀의 데이터 정렬기능은 [매뉴] - [데이터] - [정렬] 기능을 통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매뉴의 정렬 기능

정렬기능을 선택하면 정렬 창이 열립니다.

여기에서 정렬에 대해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기준으로 복잡한 표를 한번에 정리할 수 있습니다.

 

정렬 매뉴

 

3. 정렬하기

 

① 데이터에 머리글 표시

 

보통 데이터의 첫 행은 제목으로 사용합니다.

행 번호를 A, B, C, D로 사용할 수 있지만 제목자체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체크를 하면 제목행을 사용하고, 제목행은 정렬에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체크를 안하면 데이터 행 번호를 사용하고, 첫 행도 정렬의 대상이 됩니다.

 

② 데이터 정렬 기준 설정하기

 

  • 사용할 행을 선택합니다. 
  • 셀 값 / 셀 색 / 글꼴 색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을 선택합니다.

 

 

③ 사용자 지정 목록으로 선택하기

 

정렬하는 순서를 수동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목록과 일치해야 합니다.

월, 화, 수처럼 엑셀이 지원하는 순서들도 있고 추가를 할 수도 있습니다.

 

 

4. 빠르게 정렬하기

 

데이터를 선택하고 정렬 옆의 "ㄱ-ㅎ" 화살표(영문판 "A-Z" 화살표) 버튼이 있습니다.

이건 오름차순 / 내림차순 버튼입니다. 또 마우스 오른쪽 키에서 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선택된 범위의 왼쪽 처음 데이터 열 기준으로 정렬합니다.

 

 

 

오른쪽 기준으로 정렬

반응형
728x90
목차

1. 필터 사용하기

2. 값으로 데이터 필터하기

3. 정렬(오름차순, 내림차순, 색 정렬)

4. 텍스트 필터

5. 숫자 필터

6. 색 필터

 
 
엑셀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사용하면 점점 길어집니다.
일을 하면서 데이터가 많아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필요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찾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입니다.
원하는 것들을 보여주는 편리한 필터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20x100

 
 

1. 필터 사용하기

 
필터를 활성화 시키는 순서
① DATA의 범위를 선택합니다. 선택하지 않아도 커서가 있는 근처를 자동으로 범위를 잡습니다.
하지만 안전한 사용을 위해 범위를 선택할 것이 좋습니다.
[데이터] - [필터]를 선택합니다.(단축키 : Ctrl + Shift + L)
③ 필터가 활성화 되면 열에 화살표가 생깁니다.
이 필터는 한 워크시트에 한개씩만 활성화 됩니다.
 

필터 활성화 하기

 

 
 

2. 값으로 데이터 필터하기

 
화살표를 누르고 원하는 데이터를 보면 해당 데이터로 필터가 됩니다.
필터 범위로 지정된 다른 값들도 영향을 받습니다.
전체보기를 두르면 다시 볼수 있습니다.
 

필터 선택

 

 

적용된 필터

 

필터가 적용되면 화살표가 필터표시로 바뀝니다.
이걸보면 데이터에 필터가 적용된 상태인지 알 수 있습니다.
 
Tip. 어떨때는 너무 조건이 많아서 필터가 어디 걸려있는지를 알 수 없습니다. 그럴때는 차라리 필터는 해제하세요.
처음부터 하는게 빠를 수도 있습니다.
 

 

 
 

3. 정렬(오름차순, 내림차순, 색 정렬)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숫자나 가나다, abc 순으로 정렬합니다.
정렬은 필터가 적용된 범위내에서 다른 행열을 전부 정렬합니다.
다만 화살표가 있는 첫줄은 움직이지 않습니다.
 

색필터

 


색필터는 선택한 같은 색을 위로 정렬합니다.
선택되지 않는 다른 색들은 그냥 순서대로 있습니다.
 

정렬결과

 
 

 

4. 텍스트 필터

 
필터기능은 자기 행에 걸려 있는 것을 인식해서 텍스트인경우에는 텍스트 필터 기능을 활성화 시킵니다.
[필터 화살표] - [텍스트 필터] - {리스트}
사용자 지정 자동 필터가 열립니다. 여기서도 기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정 글자와 같거나 다르거나 시작문자 / 끝문자 / 포함된 문자나 포함되지 않는 경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동필터

 


 

5. 숫자 필터

 
내용이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면 인식해서 숫자필터를 활성화 합니다.
[필터 화살표] - [숫자 필터] - {리스트}
숫자 필터는 좀 더 다양합니다.
연산자(>, <, >=, <=)를 지정할 수도 있고 상위 몇번째까지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숫자필터

 
 

 

6. 색 필터

 
색필터는 원하는 셀 바탕색으로 필터를 합니다.
[필터 화살표] - [색 기준 필터] - {리스트}
정확하게 일치하는 색들만 모아줍니다.
 

 
 


 
이 필터 기능은 여러가지 기능이 있지만 사용법이 더 다양합니다.
다른 사람이 필터를 쓰는 것을 보면 순서나 기능이 제가 쓰는거랑 크게 달라서 재미있을때가 많습니다.
응용력이 높은 프로그램인 엑셀의 장점을 잘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