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20x100

 

엑셀은 스프레드 시트 프로그램입니다.

다중의 표형식으로 이루어지는데 그러다 보니 통계 데이터나 분석표를 입력하는데 특화되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를 따르는 경우도 있는 것이죠.

데이터를 입력하고 관리하는 레코드 관리 기능을 알아봅시다.

 

 

① 레코드 관리 기능의 위치

 

레코드 관리는 일반 인터페이스에서는 찾을 수 없습니다.

상단의 "검색" 기능을 활용하면 찾을 수 있습니다.

아니면 [상단 매뉴] - [파일] - [옵션] -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 등록해야 합니다.

편리한 기능인데 바로 없으니까 조금 섭섭하네요

 

검색 기능 / 빠른 실행 도구 추가

 

 

② 레코드 관리 기능 사용

 

레코드기능을 사용할 때는 일부 작성된 표 위에 커서를 위치해야 합니다.

그래야 엑셀이 표를 인식해서 레코드를 활성화 시킵니다.

표의 내용과 속성을 인식해서 리스트로 만듭니다.

 

레코드 관리 기능

 

 

③ 레코드 관리의 내용 - 새로 만들기

 

레코드 관리의 매뉴 중 "새로 만들기"를 하면 빈칸 양식으로 변경됩니다.

마지막의 나이 항목은 수식이 들어가 있습니다.

나머지를 입력하면 표의 맨 아래에 여기서 입력한 후 "새로 만들기"를 또 누르면 표의 맨 아래 들어갑니다.

 

새로만들기

 

 

④ 레코드 관리 - 조건

 

"이전 찾기""다음 찾기"로 항목의 앞뒤로 이동 할 수 있습니다.

조건을 눌러서 활성화 하면 조건에 맞는 항목만 움직입니다.

"조건"의 성별을 "남"으로 입력하면, 이전과 다음으로 조건에 맞는것만 찾아 이동합니다.

다시 "조건"을 누르고 입력한 것을 지운 후 "레코드 관리"를 누르면 해제됩니다.

 

검색

 

 

반응형
728x90

 

판매량, 생산량, 매출 같은 데이터의 변화추세를 한눈에 보는 막대챠트를 자주사용합니다.
중요한 데이터를 가지고 그래프를 그릴때 허전해 보일때가 있습니다.
그래프를 강조하는 혼합형 차트를 그려봅시다.
그냥 보기만해도 혼합형이 선이있어서 오른쪽으로 가면 값이 커지는게 강조됩니다.

 

오른쪽이 좀더 트렌드가 잘 보이죠

혼합형을 그리는 방법은 두가지 입니다.

 

 

 

 

1. 혼합형 바로 그리기


우선 테이터를 선택하고 [삽입] - [챠트] - [혼합형]를 그립니다.
막대형과 꺽은선으로 그리는 방식이 엑셀에서 자동으로 선정하는데 좀 특이합니다. 
세로인 경우 범위에서 오른쪽에 있는 것이 가로인경우 아래 있는 DATA가 꺽은 선형으로 분류됩니다.

 

DATA가 2개 : (막대) + (꺽은선)
DATA가 3개 : (막대) + (막대) + (꺽은선)
DATA가 4개 : (막대) + (막대) + (꺽은선) + (꺽은선)
DATA가 5개 : (막대) + (막대) + (막대) + (꺽은선) + (꺽은선)

 

320x100

 

 

 

2. 기존 차트에서 수정하기

 

또 다른 방법은 우선 다중 막대 그래프로 그리고 하나만 선택해서 다른 차트 기능을 활성화 시키면 됩니다.
사실 어렵지도 않고 원하는 데로 그릴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삽입] - [차트] - [꺽은선 그래프]로 변경합니다.

 

 

이제 그래프 하나에 두가지 서식이 적용되었습니다.
설정을 변경 할 때는 한번에 한가지 범주를 선택하고 설정하면 됩니다.

그럼 이렇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능적으로는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디자인은 다른 문제라 예쁘게 챠트를 그리기가 어렵더라고요.

그래도 의사표현을 잘하기 위한 팁은 X축과 Y축을 명확하게 명시하고 혼합형그래프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저는 미적감각이 거의 없는 사람이라서 가끔 구박받고는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표현하면 최소한 깔끔하면서 말하고자 하는 것을 깨끗하게 할 수 있겠죠
경험상 메시지가 명확해 진 것만으로도 불만은 많이 줄어들더라고요.

자주 사용하는 그래프 양식입니다

 

이 그래프는 똑같은 그래프를 두개 그려서 하나는 막대 하나는 꺽은선으로 만든 것입니다.

제 작품중에서는 그나마 보기 깔끔하더라고요

각자 상황에서 보기 좋은 차트를 연습해 봅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