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차

1. SLN (정액법) 함수

2. DB(정률법) 함수

3. DDB (이중체감법) 함수

4. SYD (연수합계법) 함수

 

감가의 의미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에 설명했습니다.

(링크 : 설비/시설을 사용하는 입장에서 감가상각비의 의미와 설비투자시 감가를 계산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

이제 계산법과 엑셀 함수를 알아보겠습니다.

 

320x100

 

 

1. SLN (정액법) 함수

 

가장 많이 사용하고 유명한 방식입니다.

감가를 매년(주기) 일정하게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단순해서 좋습니다.

salvage(자산가치)와 life(수명)이 예상값으로 들어갑니다. 정확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도록 운영해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 계산은 좀 틀려도 액수가 정확하게 맞는 정액법을 많이 선호합니다.

 

SLN(cost, salvage, life) : 정액법을 사용한 감가 상각비를 구합니다.

 

  • cost : 원가, 자산의 초기비용입니다.
  • salvage : 자산가치, 감가가 완료 되었을 때 자산의 가치입니다.
  • life : 수명, 감가상각을 계산하는 전체 기간입니다.

계산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D=감가상각비

 

정액법은 같은 금액을 매년 같은 감가로 소모하다보니, 같은 부담이 들어갑니다.

시설 투자를 하고 몇년이 지났는데 똑같은 금액이 감소하는 것은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SLN 함수 사용의 예

 

 

 

2. DB(정률법) 함수

 

정률법은 매 주기에 같은 값을 곱해서 감가를 계산합니다.

비율은 같지만 매년 액수가 감소함으로 감가도 같이 감소합니다.

정액법에 비해서는 이해가 어렵지만, 처음에는 많이 감소하고 나중에는 적게 감소하여 계산이 현실치에 더 부합니다. 

 

DB(cost, salvage, life, period, [month]) : 정률법으로 감가상가를 구합니다.

정률법으로 계산하면 매 주기마다 액수가 변하게 됩니다.

 

  • cost : 원가, 자산의 초기비용입니다.
  • salvage : 자산가치, 감가가 완료 되었을 때 자산의 가치입니다.
  • life : 수명, 감가상각을 계산하는 전체 기간입니다.
  • period : 주기, 감가상각에서 지금이 몇번째인지 구합니다.
  • month : 첫 해의 개월 수입니다. 생략하면 12로 간주됩니다.

 

계산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매 주기별로 곱해지는데 이 비율을 엑셀이 소수점 3자리까지만 구합니다.

그래서 오차가 많이 날때도 있습니다. 엑셀로 계산하실 때는 합계를 확인해야 합니다. 꼭!

아니면 위에 공식으로 직접 구하셔도 무방합니다.

 

Dn은 지금 주기의 감가 Dn-1은 이전주기

 

정률법은 매년 줄어드는 액수가 감소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첫 몇 주기는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DB 계산방식

 

 

 

 

3. DDB (이중체감법) 함수

 

이중체감법은 지금 주기의 액수가 아니라 이전주기의 액수에 비율을 곱해서 감가를 적용합니다.

초기에 많은 감가비용이 발생하고, 마지막 주기에는 적거나 없습니다.

이 차이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초반부에 많은 비용을 할당 할 수 있습니다.

이전 감가 비용에 factor / life(비율 / 수명)을 곱하여 뺍니다.

그리고 마지막 주기에서 잔액과 맞추는 방식입니다.

 

DDB(cost, salvage, life, period, [factor]) : 이중체감법으로 감가를 계산합니다.

 

  • cost : 원가, 자산의 초기비용입니다.
  • salvage : 자산가치, 감가가 완료 되었을 때 자산의 가치입니다.
  • life : 수명, 감가상각을 계산하는 전체 기간입니다.
  • period : 주기, 감가상각에서 지금이 몇번째인지 구합니다.
  • factor : 잔액이 감소하는 비율입니다. 생략하면 2(이중 체감법)로 간주됩니다.
  • 처음에 펙터를 2→1로 변경하면 수명이 5년에서 10년으로 늘어난 것과 똑같이 됩니다.

 

계산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DDB 계산 방식

 

아래 사용예시에서 중요한 것은 factor(비율) 2 / life(수명) 5 = 0.4를 매단계 곱해나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잔액이 부족해지면 계산 방식이 바뀝니다.

그런데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4주기에 이미 감가가 다 적용되 버리죠.

계산방식을 사용하되 가치 잔액을 맞춰서 계산한다면 factor 조정하거나  VDB 함수를 사용하지면 됩니다.

 

 

 

 

4. SYD (연수합계법) 함수

 

연수합계법은 cost - salvage에 감가를 적용합니다.

감소해야 하는 액수에만 적용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자산의 변화에 대해 계산합니다.

 

SYD(cost, salvage, life, per) : 연수합계법으로 감가상각을 계산합니다.

 

  • cost : 원가, 자산의 초기비용입니다.
  • salvage : 자산가치, 감가가 완료 되었을 때 자산의 가치입니다.
  • life : 수명, 감가상각을 계산하는 전체 기간입니다.
  • per : 주기, 감가상각에서 지금이 몇번째인지 구합니다.

 

계산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원가 12백만원과 잔액 2백만원 사이에 감가가 적용되어야 하는 10백만원에만 감가가 적용됩니다.

위의 다른 방법들도 장단이 있지만 이 연수합계법은 감가의 액수 측면에서는 합리적인 방식입니다.

특히 자산가치의 평가가 정확하다면 좋은 방식입니다.

 

사용예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