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얼마를 모아야 할까
돈을 모을때는 이자를 공급 받을 수 있습니다.
이자와 기간, 목표액이 있다면 매번 얼마를 모아야 할지 계산해야 합니다.
매번 납입하는 금액을 계산하는 PMT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2. PMT 함수
PMT(rate, nper, pv, [fv], [type]) : 어떤 기간동안 이자를 받으면서 저축할 때 매번 납입해야 하는 금액을 구해줍니다.
- rate : 대출 혹은 저축의 이자율입니다.
- nper : 대출금 총 상환 횟수입니다.
- pv : 대출액 혹은 현재 잔금입니다.
- [fv] : 마지막 결제가 이루어진 후 이루고자 하는 잔액입니다. fv를 생략하면 0으로 가정됩니다.
저축을 할 때는 목표액이 됩니다. - [type] : 0 또는 입력하지 않으면 주기의 말에 금액을 내고, 1은 초기에 금액을 지급합니다.
- 0은 이자가 먼저 발생하고 후에 금액을 넣고, 1은 금액을 먼저 계산한 후에 이자를 가합니다.
- 0은 우리가 일반적인 대출에 사용하고 1은 보통 연금에 사용하는 방식입니다.(다 그런건 아닙니다.)
함수로 계산할 때는 세금, 대출 수수료, 기타 부대비용, 현금가치의 감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현실에서 투자할 때는 이런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3. 사용예시
저축할때는 FV에 목표액을 기입하면 되고 대출을 할 때는 PV에 대출원금을 입력하면됩니다.
이자와 기간을 입력하면 PMT 함수가 매번 납입해야 하는 금액을 알려줍니다.

① 이자 5%로 10년간 1억을 모으려면 매년 약 795만원을 모아야 합니다.
② 이자 5%로 10년간 1억을 갚으려면 매년 약 1295만원을 납입해야 합니다.
③ 이자 10%로 10년간 1억을 모으려면 매년 약 1637만원을 모아야 합니다.
④ 이자 10%로 10년간 1억을 갚으려면 매년 약 2638만원을 납입해야 합니다.
이렇게 대출을 하거나 목표액을 가지고 돈을 모을때 계획을 세우기 유용합니다.
하지만 기다 부대 자금이나 현금가치 감소가 포함되지 않는 부분은 감안하셔야 합니다.
4. 기타
재무관련한 이야기를 하면, 돈을 모으는 것이 대출로 먼저 빌리는 것보다 효과적이라고 설명드립니다.
하지만 투자를 해서 수익을 낸다면 빠른 투자를 해야 하겠죠.
하지만 불안정한 투자라면 대출에 의해서 리스크가 배가 됩니다.
'엑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EXCEL) 개체를 여러 개 선택하고 그룹이나 한 개의 그림으로 만들기 (0) | 2023.04.05 |
---|---|
엑셀(EXCEL) 셀로 만든 표를 복사해서 그림으로 붙여 넣기 (0) | 2023.04.04 |
엑셀(EXCEL) 재무 함수 RATE로 저축형 연금의 이자가 얼마인지 계산합니다 (0) | 2023.03.30 |
엑셀(EXCEL) 재무 함수 NPV, 할인율을 생각해서 지금 설비 투자나 연봉계약의 현재 가치를 구해보자 (0) | 2023.03.30 |
엑셀(EXCEL) 재무 함수 PV, 내가 받는 연금은 지금 기준으로 얼마짜리 일까? 대출이나 투자의 현재 가치 계산하기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