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차

 

1. 블록 만들기

2. 블록 삽입하는 법

3. 블록 편집하는 법

4. 블록 해제하기

5. 블록의 사용

 

오토캐드로 작업하다보면 같은 모양을 반복적으로 여기저기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복사 - 붙여넣기가 있기는 하지만 좀 더 편리한 블록이라는 관리기능을 지원합니다.

사용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캐드 2023 버전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이 버전부터 인터페이스가 바꼈습니다.

명령어등은 동일하지만 매뉴의 모양이 다를 수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단순해도 매번 그리기는 번거롭습니다

 

320x100

 

 


1. 블록 만들기

 

① 블록으로 만들 개체들을 선택하고 명령어 "BLOCK" 혹은 "B"를 입력합니다.

선택은 나중에도 할 수 있는데 미리 하는 쪽이 깔끔하더라고요.

 

 

②  블록 정의 창에서 "이름"을 입력하고 "선택점"을 선택합니다.

이름은 과거에 사용했던 것이랑 겹치지 않게 합니다.

선택점은 블록을 삽입하거나 선택할 때 기준이 됩니다.

예제에서는 보기 좋은 아무 곳으로 선택했지만 중앙이나 편한 한쪽 구석을 선택하면 됩니다.

 

 

③ 확인을 누르면 블록이 완성됩니다.

블록 정의 창에서 객체를 선택할 수 있지만 우리는 이미 선택을 하고 왔으니 바로 확인을 누릅니다.

객체의 기준점이 선택점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블록 삽입하는 법

 

① 명령어는 "INSERT" 혹은 "I"를 사용합니다.

 

 

② 블록 관리 창에서 설정을 확인합니다.

축척이나 회전등을 확인하고 블록을 선택합니다.

 

 

③ 드레그 앤 드롭으로 끌어서 놓으면 블록이 도면으로 이동합니다.

쉬운 삽입 방법입니다. 기준점을 잡고 움직여서 도면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3. 블록 편집하는 법

 

① 블록을 마우스 오른쪽 키로 선택합니다.

블록 편집기를 선택합니다.

 

 

② 블록 편집기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작도 할때처럼 평범하게 블록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③ 저장하고 닫고 나옵니다.

도면상에 있는 같은 블록은 전부 같이 변합니다.

편리할 수도 있지만 하나만 바꾸고 싶을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4. 블록 해제하기

 

일부 모양을 변경하고 싶거나 블록 편집기를 통해 변경할 때 전부 편집 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① 블록을 선택하고 EXPLODE 혹은 X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이렇게 하면 블록이 깨집니다.

 

 

② 블록을 해제 안될때 확인할 것

블록을 처음만들때 분해허용이 꺼져있었다면 해제되지 않습니다.

해제 할 일이 없을 줄 알고 허용을 꺼두었다면 변경을 해야합니다.

 

 

② 블록을 해제 안 될때 설정

블록 편집기로 들어가야합니다. 왼쪽에 있는 매뉴에서 분해 허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게 왼쪽 아래쪽에 있는 매뉴라서 바로 안보일 수 있습니다.

창을 내려서 찾아야 합니다.

 

 


5. 블록의 사용

 

사용법이 많은 기능이고 사람에 따라 재미있는 활용도 있을 껍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글자에 많이 사용합니다.

시험도 다양하고 규격번호도 많으니 매번 새로 작성하는 것은 힘들고, 복붙도 위험합니다.

미리미리 큰 분류별로 도면 주석 혹은 관련 규정을 블록화 시켜두면 필요할 때 필요한 것만 수정하면 되니까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