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엑셀의 삼각함수

 

엑셀에서 삼각함수를 전개할 일을 딱히 많지는 않습니다.

구조설계 전문적으로 하시는 분이야 캐드, 솔리드웍스등 2, 3차원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계산을 하는 경우에도 매트랩등 전문 툴도 있고요. 그냥 스마트폰 계산기에도 있습니다.

그래도 이도저도 아닌 상황에서는 그냥 엑셀로 계산해도 편한 경우가 많습니다.

 

함수는 그냥 보통 쓰는 삼각함수와 같습니다.
내용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SIN(radians) : 주어진 각도의 사인 값을 반영합니다.
  • COS(radians) : 주어진 각도의 코사인 값을 반영합니다.
  • TAN(radians) : 주어진 각도의 탄젠트 값을 반영합니다.

 

기본적으로 값만 넣으면 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도( ˚ ) 단위의 값은 안됩니다.

라디안 (RAD) 단위로 입력해야 하는데 RADIANS(각도) 함수로 단위를 변환하거나 (각도) * PI()/180으로 연산합니다.

 

320x100

 

 

2. 삼각함수의 역함수(아크 삼각 함수)

 

삼각함수의 역함수도 간단한데 앞에 A를 붙인 형태입니다.

다만 이 경우는 결과값의 단위가 라디안 (RAD) 단위입니다.

그래서 라디안 (RAD) 단위을 역으로 도( ˚ )로 변환해 줘야 우리가 편하게 보는 숫자가 됩니다.

DEGREE(rad) 함수를 사용하거나 (rad) * 180 / pi()로 연산하면 변환할 수 있습니다.

 

  • ASIN(radians) : 주어진 각도의 역사인(아크 사인) 값을 반영합니다.
  • ACOS(radians) : 주어진 각도의 역코사인(아크 코사인) 값을 반영합니다.
  • ATAN(radians) : 주어진 각도의 역탄젠트(아크 탄젠트) 값을 반영합니다.

 

 

 

3. ATAN2 함수 - Atan의 무한대 문제를 해결

 

삼각함수를 사용하다보면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일이 있습니다.

바로 Tan인데요 SIN과 COS은 값이 1이 한계로 ASIN, ACOS에 1이 넘는 숫자를 입력하면, 오류가 납니다.

그런데 TAN은 숫자상으로는 무한대 개념이 +90도는 +무한대, -90도는 -무한대를 출력합니다.

불연속면이라는 것이죠.

그래서 각 경계면의 tan에 가까운 값을 연산하려고 ATAN2가 있습니다.

 

ATAN2(x_num, y_num) : 원점에서 좌표 x_num과 y_num에 있는 점의 아크 탄젠트 값을 구합니다.

 

  • x_num : 원하는 점의 x 좌표입니다.
  • y_num : 원하는 점의 y 좌표입니다.

 

좌표를 사용하면 tan 특유의 문제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좌표로 부터 각도를 추출하기도 편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